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혼자인가요?①] "펫, 비싸잖아" 나를 위로해주는 캐릭터 어때

기사등록 : 2016-11-15 15: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얽매인 관계 싫고, 위안이 필요한 2030세대에 열풍
중장년층은 애완동물 돌보기로 빈둥지증후군 극복

[뉴스핌=김은빈 기자] 2030세대를 중심으로 모바일 메신저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을 젊은이들의 '고독'에서 찾고 있다.

올해 3분기 카카오의 기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77.6% 증가한 661억원이다. 기타분야 매출이 급증한 배경에는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상품의 인기가 깔려있다.

캐릭터상품의 인기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카카오의 카카오프랜즈 캐릭터. 캐릭터들이 가진 자체적인 스토리와 외형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왼쪽부터 프로도, 네오, 콘, 무지, 어피치, 라이언, 무지, 제이지.

지난 15일 오전 남자친구와 서울 강남역 인근 카카오스토어 매장을 찾은 박근빈(여·26)씨는 “강남에 매장이 있다기에 왔는데 상품들이 너무 귀엽다”며 환한 표정을 지었다.

박씨의 주변에도 그처럼 캐릭터 상품을 사러 온 사람들로 가득했다. 손님끼리 어깨가 부딪힐 정도로 붐비는 것은 아니었지만, 평일 오전임을 감안하면 꽤 많은 손님이라고 매장 직원은 귀띔했다. 주말 저녁에는 매장 앞에 줄을 서서 입장할 정도다.

서울 강남 카카오프랜즈숍 1층 거대한 라이언 모형.

특히 인기가 많은 건 곰을 닮은 사자 캐릭터 ‘라이언’이다. 1층 매장 한가운데를 차지한 거대 라이언 모형에는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대학생 이지혜(23·여)씨는 캐릭터 액세서리에 관심을 보였다. 이 씨는 “날씨가 추워져 담요를 사러왔다”며 “이왕이면 내가 좋아하는 캐릭터 상품으로 갖고 싶어서 왔다”고 말했다.

◆ 캐릭터 인기는 고독한 2030세대 세태 반영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박미화(여·26)씨는 카카오톡 캐릭터 ‘라이언’의 팬이다. 라이언 이모티콘을 모으면서 시작된 라이언 ‘덕질’(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심취해 그와 관련된 것들을 모으거나 찾아보는 행위)은 어느새 라이언 캐릭터 상품을 사는 데까지 이어졌다.

하비팩토리에 설치된 피규어 진열대.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등 영화캐릭터들이 눈에 띈다.

박씨는 라이언을 좋아하는 이유로 공감을 꼽는다. 박씨는 “이모티콘을 쓸 때마다 무표정한 라이언이 저를 대변해주는 것 같아요”라고 말한다.

곽금주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지금의 젊은 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위안거리가 필요한 세대”라고 진단한다. 경쟁사회 심화와 전체의 전체 가구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1인가구가 늘어난 탓이다. 곽 교수는 “심리적으로 지친 마음을 캐릭터나 관련 상품을 즐기면서 해소하려는 청년들이 많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직장인 박송이(여·27)씨도 캐릭터에게 위로를 얻는다. 박씨가 관심을 보이는 캐릭터는 일본 애니메이션 건담. 박씨는 “마음이 허할 때 프라모델을 조립한다”라고 말한다. 프라모델은 플라스틱 부품을 조립해 만드는 모형이다. 박씨의 취미는 취업 준비생 시절부터 시작됐다. 공부나 일에 지칠 때마다 잠깐씩 건담을 조립하는 식이다. 박 씨는 “건담을 만지다 보면 피로가 풀린다”며 “건담에게 애착을 느낀다”고 말한다.

서울 강남 카카오매장 2층 모습. 평일 오전인데도 많은 사람들이 모여 캐릭터 상품을 고르고 있다.

◆ 중장년층은 애완동물

경기 일산에 거주하는 주부 김미영(여・54)씨는 애완견을 통해 '빈둥지 증후군'을 극복했다. 빈둥지 증후군은 자녀를 독립시킨 부모에게서 보이는 무력감과 외로움을 가리키는 심리학 용어다. 김 씨는 “강아지를 챙겨주다 보면 다른 생각이 들 틈이 없다”며 강아지 재롱보는 재미에 산다고 했다.

세대 별로 위로의 방법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대중문화평론가 김성수씨는 익숙함의 차이라고 설명한다. 김씨는 레고나 피규어가 활성화되기 시작했던 것은 1980년대라며 “그때 태어난 2030세대들에게 피규어나 캐릭터 문화는 굉장히 익숙한 문화이자 손쉬운 선택지”라고 설명했다. 김씨는 “중장년이나 노년층의 경우에는 뭔가를 돌보고 키우는 데 애착을 갖기 쉽기 때문에 식물이나 애완동물을 키우는 모습을 보인다”고 말했다.

곽 교수는 2030세대의 캐릭터 열풍을 ‘나홀로족’의 특성에서 찾는다. 곽 교수는 “피규어같은 캐릭터 상품은 인간관계나 애완동물과 달리 자신이 애정을 쏟고 싶을 때만 쏟아도 된다. 애정을 쏟고 싶지만 관계에 구속되고 싶지 않는 사람일수록 피규어나 캐릭터 문화를 더 즐길 수도 있다”라고 진단했다.

애완동물을 키우는 데 들어가는 비용 역시 큰 부담이 된다. 앞서 프라모델을 좋아한다고 밝힌 박씨는 “동물을 좋아하긴 하지만 월세만 80만원인 상황에선 애완견을 키울 여력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은빈 기자 (kebj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