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계룡·한신등 BBB등급 건설사, 회사채 상환 '주의보'

기사등록 : 2017-01-24 08: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계룡건설·한양 등 현금성자산 줄어 회사채 만기 부담
신규발행 사실상막혀,올 주택경기하락에 유동성가중

[편집자] 이 기사는 1월 23일 오전 11시1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동훈 기자] 현금 유동성이 풍부하지 않은 신용등급 ‘BBB’의 중견 건설사들이 회사채 상환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 주택시장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아 이들 중견 건설사들의 자금 압박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23일 건설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계룡건설 한신공영 한양 등 신용등급 BBB인 중견 건설사들은 대부분 올해 300억원 안팎의 회사채 만기를 앞두고 있다.

이들 BBB 등급 건설사들은 회사채를 갚기 위한 차환 발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회사채 신규 발행도 어렵다. 이에 따라 회사가 보유한 현금으로 갚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사채시장에서 자금을 빌려오면 10%가 넘는 대출 이자를 부담해야 한다. 신용등급 A사의 회사채 금리가 3~4%와 비교해 이자 부담이 크다.

계룡건설산업은 올해 회사채 332억원을 갚아야 한다. 작년 만기 도래한 회사채 금액인 175억원보다 2배 정도 늘어난 규모다. 하반기에 집중돼있다. 오는 9월 140억원, 10월 105억원, 12월 87억원에 대한 만기가 차례로 돌아온다.

이 회사의 작년 3분기 기준 사내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770억원이다. 이 자금으로 회사채를 모두 상환하면 사내 현금성 자산은 400억원 규모로 쪼그라든다. 지난 2015년 말 현금성 자산이 1378억원이란 점을 고려할 때 운영자금 및 신사업 추진에 자금난을 겪을 가능성이 있을 것을 분석된다.

한양은 올해 250억원 규모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작년(580억원)과 비교하면 회사채 부담이 줄었지만 여전히 보유 자금으로 상환에 나서는 것이 부담이다. 오는 5월 200억원, 6월 50억원을 갚아야 한다.

작년 3분기 기준 사내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530억원. 2015년 말 현금성 자산이 1231억원에 달했으나 회사채 상환, 과징금 납부 등으로 크게 줄었다. 다만 지난해 영업이익이 5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돼 시름을 덜었다. 5월 만기가 돌아오는 200억원에 대해서는 차환이 유력하다는 게 회사측의 이야기다. 

한신공영은 올해 회사채 상환액이 210억원이다. 오는 5월 만기 예정인 100억원을 조기에 상환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앞으로 110억원이 남은 상태다. 현금성 자산이 1533억원 규모로 상대적으로 넉넉한 게 위안이다.

한라는 올해 회사채 625억원이 만기된다. 작년 2200억원 정도의 회사채를 갚았던 것에서 규모가 줄었지만 상대적으로 회사채 만기금액이 많다. 다만 최근 한라는 4년 4개월 만에 5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에 성공해 한시름 덜었다. 10위권 건설사 중 유일하게 신용등급 BBB인 한화도 작년 4100억원에 이어 올해 2550억원 회사채가 만기된다.

회사채 상환보다 현금 유동성이 넉넉지 못한 점이 더 문제다.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대부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건설 영업으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다.

계룡건설산업은 2014년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9억4900만원을 기록하다 2015년 1395억원으로 회복했다. 다시 작년 3분기에는 -341억원으로 악화했다. 한양은 작년 3분기 -106억원의 현금흐름을 보였다. 한신공영은 190억원 흑자를 기록했으나 전년동기(1912억원) 대비 90% 줄었다.

올해 주택경기가 불안한 것도 유동성 위기가 꿈틀대는 이유다. 신규 분양시장은 이미 차갑게 얼어붙었다. 서울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완판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중견 건설사들은 지방 물량이 많고 상대적으로 입지가 떨어지는 사업장이 많아 수요층의 외면을 받을 수 있다.

분양 초기에 대규모 미달사태가 빚어지면 금융비용이 늘어나고 마케팅, 인건비 등이 증가한다. 악성 사업장으로 이어져 할인분양에 나서면 그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건설경기 불확실성에 그룹 건설사를 제외하곤 회사채 신규 및 차환발행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작년 주택경기 호황에 중견 건설사들이 유동성에 큰 부담이 없었으나 올해는 상황이 달라져 사내 현금이 부족한 건설사는 자금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leed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