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광고

'며느릿감 구합니다' 아들 딸 혼처 찾는 대륙의 극성 모정

기사등록 : 2017-04-07 13:5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자녀의 짝 내 책임' 극성스런 의무감
부모 대행 맞선 프로그램 인기, 맞선대회 활기

[뉴스핌=배상희기자]중국 상하이 동방위성TV에서 방영 중인 ‘중국식 맞선(中國式相親)’이 화제다. 이는 결혼 적령기의 싱글 남녀들을 위한 공개 맞선 프로그램으로, 부모들이 함께 출연한다는 점에서 페이청우라오(非誠勿擾) 등 기존 프로그램과 차별화된다.

이 공개 맞선에는 중매인(紅娘) 역할의 사회자를 비롯해 남성 또는 여성 출연자가 그들의 부모와 함께 등장한다. 보통 다섯 가정이 출연하며, 당사자가 아닌 부모들이 자녀들의 배우자감을 선택한다. 

한 남성 출연자의 등장에 부모들의 눈빛은 순식간에 심사위원 모드로 바뀐다. 훤칠한 외모로 여성 출연자와 부모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쑹하이보(宋海波∙28)라는 이 남성은 두 개의 사업체를 운영하는 젊은 최고경영자(CEO)로 자신을 소개했다. 경제 능력은 물론 매너 있는 태도와 뛰어난 노래 솜씨까지. 엄친아의 등장에 부모들은 연신 선택 버튼을 눌러대며 사윗감 쟁탈전을 벌인다.

자녀들의 평생 배우자감을 고르는 자리인 만큼  부모들과 상대 출연자 사이에서는 과하다 싶을 정도의 현실적인 발언들이 오가기도 한다. 일부 출연자는 상대 부모들의 돌직구 발언에 당황한 기색을 감추지 못한다. 여성 출연자에게는 나이, 남성 출연자에게는 연봉이 단골 질문이다.

"20대 남성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비싸게 팔릴 가능성이 있는 선물(先物), 30대 남성은 당장 고가에 팔릴 수 있는 현물(現物), 집과 안정적 직장까지 갖고 있는 40대 남성은 불티나게 팔리는 인기상품이라고 하죠. 하지만 여자 나이 40이면 상황은 정반대죠". 한 40대 여성은 나이가 많아 아이를 낳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로 남성 측 부모들에게 선택받지 못했다.

"연봉이 얼마죠? 결혼하려면 1선도시에 집 한 채 정도는 있어야죠. 홀어머니 가정에 우리 딸을 시집보내고 싶지 않아요." 한 20대 후반 남성은 훈훈한 이미지로 부모들의 호감을 샀으나 홀어머니와 살고 있는 데다 보유 주택이 없다는 점 때문에 한순간에 점수를 잃었다.

이 프로그램은 부모들이 선호하는 자녀들의 맞선 상대를 통해 중국인의 전통적 결혼관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 쏠쏠한 재미를 더해준다. 중국 부모 세대에 여전히 자리 잡고 있는 남존여비 사상과 남녀역할론, 혼수관 등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지난해 12월부터 방영된 이 프로그램은 첫 방송 당시 52개 도시 시청률 1.33%를 기록한 이후 1.43%, 1.52%로 꾸준히 시청률이 올랐다. 공식 웨이보(微博) 팔로워도 방영 3개월 만에 6만명을 넘어섰다. 다소 구시대적으로 여겨지는 이 같은 프로그램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 현대 중국 사회는 한국처럼 자유연애가 대세지만 자녀들의 결혼을 위해 발 벗고 나서는 극성스러운 부모들이 적지 않다. 이 프로그램이 인기를 끄는 것 또한 그만큼 중국인들에게 큰 공감을 얻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중국 상하이 동방위성TV에서 방영 중인 중국식맞선(中國式相親) 프로그램의 한 장면. <사진=중국식맞선 공식 웨이보> 


◆ 부모가 자녀 배필 찾아주는 '상친대회' 인기 

부모가 자녀의 배우자감 선정에 직접 관여하는 '중국식 맞선' 문화는 현실에서도 이뤄진다. 일요일 아침 중국 베이징 중산(中山)공원으로 나이가 지긋한 어르신들이 삼삼오오 모여든다. 이들은 공원으로 들어서자마자 자녀들의 신상정보를 종이에 빼곡히 적어 사람들의 눈에 잘 띄는 벽면에 붙이거나 오고 가는 길목에 펼쳐놓는다.

#남. 35세. 신장 173cm. 국유기업 근무. 주택 보유. 대출 없음. 공산당원. 단아하고 검소한 여성 원함.

#여. 32세. 신장 160cm. 박사학위. 대학교수. 자가용 보유. 취미 요리. 키 크고 자상한 남성 원함.

자녀의 나이와 신체사항, 직업과 연봉, 가족관계, 보유주택 평수, 대출 유무, 성격, 후커우(戶口∙호적) 등 정보 또한 구체적이다. 자녀의 프로필이 적힌 팻말을 목에 걸고 배우자감을 직접 찾아다니는 모습도 눈에 띈다. “자녀의 나이가 어떻게 되나요?”, “방이 몇 개예요?”, “이상형이 어떻게 되나요?” 등 다양한 질문을 쏟아내는 목소리도 들린다. 신혼집은 대부분 신랑 측이 마련해야 한다는 관념이 있지만 일부 여성 부모들은 그 비용을 함께 부담하겠다는 파격적인(?) 제안도 내건다.

중국 상하이 인민공원에 게시된 남녀 프로필을 꼼꼼히 살펴보는 부모들. <사진=바이두>

언뜻 보면 이산가족이라도 찾는 듯한 이 광경은 혼기에 찬 자녀들의 맞선 상대를 찾아 나선 부모들의 모임인 '상친대회(相親大會, 맞선 모임)'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베이징 중산공원, 상하이 인민(人民)공원, 항저우(杭州) 만송서원(萬松書院), 다롄(大連) 노동(勞動)공원 등에서는 매주 일요일이면 1000여 명이 참여하는 상친대회가 열린다. 결혼중개업체보다 믿을 만하고 적합한 결혼 상대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는 정보가 입소문을 타면서 지난 10여 년간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04년부터 시작된 상하이 인민공원 맞선대회는 중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혼기가 찬 미혼 자녀를 둔 부모들이 ‘상친각(相親角)’이라는 누각에 모여 바이카이수이(白開水, 끓인 물)를 나눠 마시면서 자녀들의 정보를 교환하던 것에서 시작됐다. 최대 2000여 명이 몰릴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

베이징의 경우 10여 년 전부터 중산공원, 용담호(龍潭湖)공원, 자죽원(紫竹院)공원 등에서 대규모 또는 소규모의 부모 대행 맞선 모임이 이뤄지고 있다. 초창기 수십명에 불과했던 모임은 현재 1000명으로 늘었고, 어머니 중심에서 아버지까지 참여하는 모임으로 활성화됐다. 커플 매칭률이 꽤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부모들이 자녀 결혼에 이처럼 큰 발언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이유는 자녀들의 높은 결혼비용 의존도에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현재 중국 80허우(80後,1980년대 출생자)와 90허우(90後,1990년대 출생자) 세대 대부분이 혼자서는 결혼비용을 부담할 능력이 안 되다 보니 부모들의 결정 권한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지난 2015년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남녀의 평균 결혼연령은 26세이나 결혼비용은 이 연령대에 벌어들일 수 있는 수준을 훨씬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의 경우 지난해 평균 결혼비용은 20만위안에 달했다. 여기에는 결혼 필수 예물로 꼽히는 주택과 자가용이 포함되지 않는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부모 대행 맞선 문화가 중국 사회에 잠재돼 있는 ‘자이언트 베이비(巨嬰)’ 현상을 단면적으로 보여준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이언트 베이비란 나이는 어른이지만 심리적으로 아이와 같은 단계에 머물러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는 자립할 나이가 됐음에도 경제적으로 부모에게 의지해 사는 ‘캥거루족’과 유사하다. 혼수비용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고 자신의 인생 배필을 결정하는 문제까지 부모에게 의지하는 젊은 층의 모습을 대변한다.

중국 상하이 인민공원 상친각(相親角)은 자녀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모인 부모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사진=바이두>


[뉴스핌 Newspim] 배상희기자(bs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