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광고

2017년 중국인의 일상과 비즈니스 생태계 바꾼 5대 신경제

기사등록 : 2018-01-03 14:4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5대 신경제 O2O배달, 공유자전거, 2차원문화, 쇼트클립, e스포츠 유행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28일 오후 6시04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백진규 기자] 2017년 한 해 중국에선 O2O배달 공유자전거 2차원문화 쇼트클립 e스포츠 를 중심으로 한 신경제(新經濟)가 유행하면서 중국인들의 일상을 변화시켰다. 특히 중국의 20, 30대 80허우(80後, 80년대생) 90허우(90後)들은 인터넷 모바일 IT 신기술에 의한 신경제를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주도하는 집단으로 떠올랐다. 2017년 중국 경제 사회와 중국인 생활을 바꾼 5대 신경제를 소개한다.

◆ O2O배달

2017년 중국에선 방콕남(宅男) 방콕녀(宅女) 등 신조어와 함께 집에 머무는(宅) 문화가 유행하면서, 대학생과 젊은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O2O(온·오프라인 결합)배달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 이관(易觀)이 지난 9월 발표한 ‘중국 O2O산업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중국 O2O산업 거래 규모는 전년비 85.7% 증가한 4431억위안에 달했다. 이관은 올해 하반기 O2O 거래량이 더욱 빠르게 증가해, 2017년 전체 거래액이 1조346억위안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조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음식 주문 비중에서는 중국식 패스트푸드가 73.6%로 1위를 차지했다. 햄버거 피자 등 서양 패스트푸드는 2위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은 맛과 함께 영양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중국식 패스트푸드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예전에는 반드시 식당을 찾아야 했던 훠궈(火鍋) 룽샤(龍蝦) 등도 O2O로 즐길 수 있다.

기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던 O2O기업들도 빠르게 재편되는 분위기다. 지난1년간 1000개가 넘는 O2O기업들이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뒤 시리즈B 투자유치에 실패해 문을 닫은 것으로 집계됐다.  

2017년 상반기 기준 메이퇀뎬핑(美團點評)은 주문액 1713억위안(시장점유율 38.7%)으로 업계 1위를, 커우베이(口碑)는 1670억위안(시장점유율 37.7%)으로 2위를 차지하며 사실상 시장을 양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유자전거

‘중국 신(新) 4대발명’ 중 하나인 공유자전거는 2017년 한해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을 가장 크게 변화시킨 아이템으로 꼽힌다.

중국 네티즌들은 공유자전거가 ‘최후의 1km’ 문제를 해결했으며, 앞으로도 이용자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목적지 근처까지 이동한 뒤, 다시 공유자전거로 이동시간을 단축하는 생활방식은 이미 중국 젊은이들의 일상생활에 깊이 스며들었다.

2017년 11월 기준 중국 공유자전거 활성이용자 수는 2500만명에 달한다. 그 중 업계 1, 2위를 다투는 오포(ofo)와 모바이크(摩拜單車)의 활성이용자가 2000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유자전거 열풍이 과해지면서 여러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무분별하게 방치된 자전거들이 교통을 방해하고 도시 미관을 해치자, 일부 도시에선 넘쳐나는 자전거들을 일괄 수거해 공터에 묶어놓기도 했다. 12세 소년이 자물쇠가 열려있는 공유자전거를 이용하다 버스와 충돌해 사망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무분별하게 방치된 공유자전거 <사진=바이두>

지난 8월 중국 국무원 공안부 등은 공동으로 ‘공유자전거 지도의견’을 발표해 ▲자전거 위치확인 ▲주차관리 ▲실명제관리 ▲이용연령 제한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공유자전거 시장이 무분별한 경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앞으로 인수합병 등을 통한 업계 재편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일부 공유자전거 업체는 고객의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한 채 파산하기도 했다.

◆ 2차원문화(二次元文化)

상하이 하츠메니쿠 공연 포스터 <캡쳐=바이두>

2017년 11월 25일, 상하이 신국제박람중심에서는 일본 가상 아이돌 캐릭터 하츠네미쿠(Hatsune Miku)의 10주년 콘서트가 열렸다. 실존하지 않는, 화려한 홀로그램으로 재현된 하츠네미쿠의 콘서트를 보기 위해 중국 팬들은 비싸게는 1480위안(24만원)의 입장권을 망설임 없이 구입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비주류 문화’로 취급 받던 2차원(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소설 등 존재하지 않는 현실을 주제로 한 콘텐츠)문화가 새로운 산업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다. 가상의 평면적 세계(2차원)가 실생활(3차원)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아이리서치에 따르면 90허우 00허우를 중심으로 한 2차원문화의 마니아 수는 2014년 4984만명에서 2017년 8000만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빌리빌리(bilibili) 등 중국 동영상 사이트에는 2차원 왕훙(網紅, 인터넷 스타)이 등장해 새로운 공유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중국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대기업들도 콘텐츠 변화에 맞춰 투자를 유치하고 만화 동영상 플랫폼을 재정비하고 나섰다.

스마트폰 전자상품 게임 명품 등 광고와 마케팅에서도 2차원문화의 영향력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샤오미(小米)는 올해 2월 ‘홍미노트4X 하츠네미쿠에디션’을 출시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앞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2차원문화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 쇼트클립(短視頻)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제작하는 쇼트클립(짧은 동영상)이 중국 네티즌들의 소셜네트워크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이미 녹화된 영상을 압축적으로 편집하는 쇼트클립은 어느새 온라인 개인방송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다.

기존 개인방송은 보통 생중계를 통해 현장감을 극대화시키는 반면, 내용의 긴장감이 떨어지고 영상 길이가 너무 길다는 점이 단점이었다. 하지만 쇼트클립은 짧은 시간에 완성도 높은 영상을 즐길 수 있고, 누구나 편하게 촬영할 수 있다.

쇼트클립 앱 더우인(틱톡) 실행화면 <사진=바이두>

업계에 따르면, 2017년 6월 기준 중국 쇼트클립 이용자 수는 약 1억9000만명으로 1월보다 약 1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먀오파이(秒拍) 등 기존 개인방송 플랫폼들도 쇼트클립 편집 기능을 강화하면서 업계 경쟁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콰이서우(快手) 시과스핀(西瓜視頻) 더우인(抖音, 틱톡) 모모(陌陌) 등 주요 쇼트클립 플랫폼들은 뉴스, 소셜네트워크 등 각기 세분화된 콘텐츠로 플랫폼을 재편성하고 있다.

특히 영상을 올린 뒤 실시간 댓글을 통해 이용자간의 소통을 극대화하면서, 모든 온라인 콘텐츠에 쇼트클립이 적용되고 있다.

광고, 전자상거래, 정기구독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통해 업체 수익도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중국 소비자들은 콘텐츠를 유료로 사용하는데 대한 거부감이 낮아, 쇼트클립 플랫폼 회원 수도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 e스포츠

온라인 게임을 전문 직업으로 하는 프로게이머 수가 5만명을 돌파하면서, 2017년 중국 e스포츠도 전성기를 맞이했다.

아이리서치는 2017년 중국 e스포츠 시장 규모가 지난해보다 85.3% 증가한 799억6000만위안에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한 e스포츠 시장 규모는 1년새 3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 2003년 중국 국가체육국에서 e스포츠를 제 99번째 정식 체육 종목으로 인정할 때만 해도 아직 e스포츠는 시간낭비라는 사회적 편견이 강했었다. 그러나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롤(LOL) 배틀그라운드 등 게임이 지속적으로 유행하면서 e스포츠에 대한 인식도 빠르게 개선됐다.

e스포츠 LOL 대회 중개장면 <사진=바이두>

2016년 중국 교육부는 ‘e스포츠관리’를 정식 학과로 인정해 프로게이머 등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섰다. 이와 함께 중국 네티즌들은 ‘올림픽에서 e스포츠를 정식 종목으로 채택해야 한다’며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올해 중국 e스포츠에서 가장 핫한 게임은 배틀그라운드였다. 배틀그라운드는 전세계에서 2000만장이 판매될 정도로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으며, 전세계 유저의 40%가 중국 게이머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 배틀그라운드 개발사인 펍지 주식회사는 11월 텐센트와 중국 서비스 계약을 채결, 앞으로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과 PC방 등을 활용해 중국 내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배틀그라운드 게임에서 승리하면 나오는 멘트 “이겼닭! 오늘 저녁은 치킨이닭! (大吉大利,晚上吃雞)”는 올해의 중국 유행어로 꼽혔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