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GAM

[GAM] 미국 금리 '떴다' 숨죽인 글로벌 채권시장

기사등록 : 2018-05-07 10: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3.0% 돌파, 2년물도 2.5% 선까지 상승
채권 펀드 자금 '썰물' BBB 회사채 시한폭탄

[편집자] 이 기사는 5월 4일 오후 1시5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상징적인 저항선인 3.0%를 2014년 1월 이후 처음으로 돌파, 금융시장에 또 한 차례 파란을 일으켰다.

이와 함께 1년 및 2년 만기 국채 수익률 역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나란히 경신해 투자자들이 한 차례 커다란 불안감에 빠졌다.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3% 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 2013년 이른바 테이퍼(연방준비제도의 자산 매입 축소) 발작 이후 처음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수익률이 1.36%에서 바닥을 찍은 뒤 빠른 속도로 뛴 점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2월과 달리 이번에는 달러화가 동반 상승세를 보인 점도 월가의 시선을 끌었다. 금리와 달러가 동반 상승세를 지속할 경우 위험자산을 중심으로 한 시장 충격이 2월과는 다를 것이라는 의견에 무게가 실렸다.

1분기 미국 기업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7년래 가장 커다란 호조를 이뤘지만 주가 지수와 밸류에이션을 끌어올리지 못한 것은 금리를 둘러싼 경계감과 무관하지 않다.

이미 4월 하순 이머징마켓 채권과 하이일드본드 펀드에서 뭉칫돈이 유출, 미국 금리 상승에 따른 파장이 가시화된 상황이다.

월가 투자은행(IB) 업계가 연말까지 금리가 오름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가운데 추가 상승 폭과 속도에 따라 자산시장이 크게 휘둘릴 것으로 예상된다.

◆ 美 금리 더 오른다 = 4월 미국 국채 수익률을 끌어올린 주요인은 국제 유가 강세라는 것이 중론이다. 유가가 뛰면서 투자자들 사이에 인플레이션 기대감이 높아졌고, 이는 금리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얘기다.

하지만 실상 유가 상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윗에 언급될 만큼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기 전부터 국채 수익률은 상승 흐름을 탔다.

월가는 금리의 추가 상승을 점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규모의 노르웨이 국부펀드 역시 미국 장기물 대비 단기물 국채 비중을 크게 늘려 잠재적인 수익률 상승 리스크에 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이 2014년과 달리 이번에는 시장금리가 추세적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데는 펀더멘털 측면의 배경이 깔려 있다.

무엇보다 연준이 올해와 내년 연 세 차례의 금리인상을 예고한 데다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확대 정책으로 인해 국채 발행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는 것. 실제로 발행 금리가 가파르게 치솟는 상황이다.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 달 1분기 실적 시즌 항공업계와 트럭 및 철도 업계는 물론이고 소비재 업체들까지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가능성을 경고했다.

시장 지배력을 가진 기업을 중심으로 비용 상승 부담을 소비자들에게 전가시키기 시작하면 물가는 가파르게 오를 수밖에 없다.

물가 상승은 만기 수익률이 고정된 채권의 투자 매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아울러 연준의 금리 인상을 더욱 재촉할 수 있어 투자자들이 경계감을 드러내고 있다.

월가 IB 업계는 올해 말까지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3.25~3.50%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부 투자자는 4.0% 돌파 가능성을 제시했다.

◆ BBB 등급 회사채 ‘시한폭탄’ = 미국 국채 수익률 상승에 주가가 크게 동요했지만 실상 더욱 크게 긴장한 것은 신용시장이다.

특히 투자등급 가운데 가장 하위에 해당하는 BBB 등급 회사채가 시한폭탄이라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얘기다.

해당 채권의 시장 규모는 3조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유로존 최대 경제국인 독일의 연간 국내총생산(GDP)와 맞먹는 규모다.

BBB 등급 회사채는 금융위기 이후 투자자들 사이에 뜨거운 인기를 끌었다. 정크본드만큼 투자 리스크가 크지 않으면서 쏠쏠한 수익률을 제공했기 때문.

문제는 금리가 오르면서 투자 심리가 냉각될 경우 채권 가격이 가파르게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기업들의 회사채 차환 발행에 브레이크가 걸릴 수 있고, 기업 신용등급 하향 조정을 포함한 파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미국 금리 상승은 금융위기 이후 10년간 이어진 신용 사이클의 추세적인 전환을 의미한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신용 사이클이 정점을 찍고 하강 기류를 본격화할 때 값싼 유동성 잔치 속에 몸집을 불린 BBB 등급 회사채가 패닉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다.

◆ 펀드 및 부동산으로 충격파 확산, 중국 주시 = 미국 금리 상승에 따른 파장은 펀드 업계에 먼저 가시화됐다. 신흥국 채권과 정크본드 펀드에서 대규모 자금이 이탈, 지난 2월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 것.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큰 폭으로 뛴 지난달 19~25일 사이 글로벌 투자자들은 신흥국 채권을 7억2500만달러 규모로 팔아치웠다. 이는 10주간 최대 규모의 ‘팔자’에 해당한다.

이와 별도로 하이일드본드 시장에서도 같은 기간 24억달러에 달하는 자금이 빠져나갔다. 금리와 함께 달러화가 상승 탄력을 받으면서 관련 펀드에 충격을 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추세적인 금리 상승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높아지면서 투자 위험이 높은 채권이 매도에 시달릴 여지가 높다는 것이 월가의 의견이다.

부동산 시장 역시 충격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미국 30년 만기 모기지 고정금리는 4.73%까지 오르며 4년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가뜩이나 수급 불균형에 주택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 투자자들의 부담을 높인 가운데 모기지 금리 상승은 부동산 시장에 이중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투자자들이 주시하는 부분은 중국이다. 최근 1년 사이 미국 국채 수익률이 강하게 뛴 반면 중국 금리는 완만하게 후퇴했다.

양국의 금리 차이가 더욱 크게 벌어지는 한편 달러화가 오름세를 지속할 경우 중국이 또 한 차례 자본 유출로 홍역을 치를 수 있다는 것이 주요 외신들의 지적이다.

가뜩이나 중국과 미국의 무역 마찰로 인해 위안화 평가절하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을 감안할 때 미국 금리 상승은 중국 자산가 및 기업들의 해외 자본 이전을 부추길 것이라는 관측이다.

코메르츠 방크는 달러화에 대한 위안화 매수 포지션을 1년간 보유할 때 기대 수익률이 연초 이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밝혀 이 같은 주장에 설득력을 실었다.

지난 2015년 중국의 갑작스러운 위안화 평가절하와 이에 따른 자본 유출이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 일으킨 패닉을 기억하는 투자자들이 최근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이유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