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중국

돈되는 의약 자원, 중국 바퀴벌레 뱀 모기 사육업 인기

기사등록 : 2018-07-19 16:5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말라리아 전염병 퇴치를 위한 모기공장 구축
바퀴벌레 중약 제품 및 친환경 용도로 활용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무더운 여름철 ‘마마호환’보다 무서운 모기,바퀴벌레,뱀. 중국에서는 최근 혐오의 대상인 이들 곤충과 파충류들을 산업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나서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습하고 더운 아열대 기후를 가진 광둥성의 중점 대학인 중산(中山) 대학은 모기를 통한 전염병 예방 차단을 위해 세계 최대 규모의 ‘모기 사육장’을 구축했다. 이처럼 중국의 학계 및 의약업계는 다양한 생물 자원을 바탕으로 혁신 산업 실현에 시동을 걸고 있다.

광저우에 위치한 모기공장<사진=바이두>

◆ ’모기에는 모기로 대응’, 세계 최대규모 ‘모기 공장’ 등장

중국의 남부 지역 광둥성은 모기를 매개로 한 말라리아를 비롯한 전염병으로 골머리를 앓아 왔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번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획기적인 ‘불임 수컷 모기’ 양식을 통해 모기 박멸에 나서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광저우의 중산대학이 설립한 세계 최대 규모의 모기 양식 공장은 광저우시의 멍강취(夢崗區) 첨단과학단지안에 입주해 있다. 이 공장 내부에는 암·수 모기를 분리하는 설비와 대규모 모기 양식시설이 구축돼 있다.  

그동안 당국은 서식지를 없애거나 살충제 살포를 통해 모기의 개체수 조절을 해왔지만 살충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나는 동시에 서식지 파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 하다는 뚜렷한 한계점이 존재했다.

이에 따라 그 대안으로 불임 모기를 활용한 모기 박멸 기술이 중국에서 떠오른 것. 이 모기 공장에서는 2015년 3월부터 불임 수컷모기를 방출했고 2016년 한해에만 50만 마리의 불임 수컷 모기가 외부로 유포됐다.   

불임 모기를 통한 모기 박멸의 원리는 피를 빨지 않는 수컷 모기를 사육한 후 월바키아속 (Wolbachia)의 박테리아에 감염시켜 불임 상태로 만드는 것. 그 후 수컷모기와 교배한 암컷 모기는 알을 낳을 수는 있지만 부화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모기 공장의 연구진들은 월바키아속 (Wolbachia) 박테리아는 생태계에서 자연 발생하는 세균으로,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밝혔다. 또 매년 500만 마리의 수컷 모기가 방출되면서 이 공장이 소재한 지역의 모기 개체수가 90% 이상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한편 생태계를 인위적인 조작한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중산대학(中山大学)의 교수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모기를 박멸되더라도 생태계가 교란되는 현상은 없을 것”이라며 “모기 없는 생태계로 더 살기 좋은 환경이 구축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장성 더칭현에 위치한 뱀마을<사진=바이두>

◆중국 최초의 '뱀 마을' ,뱀 양식으로 빈곤 탈출  

800여명 주민이 거주하는 저장성 더칭현(德清縣)의 작은마을 쯔스차오춘(子思橋村). 얼핏 이 마을은 논과 밭이 즐비한 중국 강남지역의 평범한 농촌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곳의 건물외벽 곳곳에는 중국뱀촌(中國蛇村)이라는 선전문구가 기재되어 있을 정도로 이 마을은 뱀 양식산업으로 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과거 이 마을은 뚜렷한 소득원이 없는 빈곤 지역이었지만 뱀 양식을 통해 농가 소득을 대대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

홍콩 매체 SCMP에 따르면, 이 마을에서 양식되는 연간 300만 마리의 뱀이 제약업체 혹은 식용으로 판매된다. 뱀 양식으로 인한 한해 매출은 8000만위안에 달한다. 제약업체들은 여기서 공급받은 뱀을 분말 형태로 제조해 일본,한국,유럽,미국등지로 수출하고 있다.

이 마을의 뱀 양식 산업은 지난 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 마을 최초의 뱀 양식업자인 마을 주민 양루창(楊如昌)이 처음 뱀을 양식하면서 점차 뱀 사육은 마을 전체로 확대됐다. 현지 주민들은 “호수와 강으로 둘러싸인 이 마을은 뱀 서식지로서 최적의 환경”이라고 밝혔다.

마을 주민들은 또 “갓 알에서 부화되거나 탈피를 막 시작한 능구렁이과 뱀이 제약업체들의 수요가 가장 많다”며 “이 시기의 능구렁이가 가장 약효가 높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또 “뱀은 분말 혹은 뱀술의 형태로 제조되면서 관절염 및 피부 치료제로 활용된다”고 덧붙였다.

◆ 속이 아플땐 바퀴벌레?, 바퀴벌레 중약 제품으로 변신

2013년 개봉된 SF영화 설국열차에는 바퀴벌레를 활용한 먹거리가 등장한다. 비록 영화 속에서도 바퀴벌레로 만든 ‘양갱’은 혐오스럽게 묘사됐지만 곤충은 미래 대체식량으로서 활용도가 높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미 혐오스런 해충의 대명사인 바퀴벌레를 활용한 제품이 상용화되면서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그 주인공은 쓰촨(四川)성 시창(西昌) 시에 소재한 중약(中藥) 전문 제조업체인 하오이성(好醫生) 그룹.

이 의약품 업체는 바퀴벌레를 양식하는 전문 시설을 구축, 60억 마리에 달하는 ‘미국바퀴(이질바퀴)’를 키우고 있다. 미국바퀴는 바퀴벌레 종류 중 가장 약효가 높은 바퀴벌레로 알려져 있다.  

하오이성(好醫生)의 대표 겅푸넝(耿福能)은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 이 공장은 바퀴벌레들에게 5성급 호텔과 같은 시설이다”라며 “바퀴벌레의 효능은 본초강목과 같은 전통의학서적 등을 통해 전해져 왔고 연구소 실험을 통해 약효가 증명됐다”라고 강조했다.

바퀴벌레 의약품 캉푸신예 <사진=바이두>

이 업체의 의약품인 캉푸신예(康复新液)는 성충이 된 바퀴벌레를 기계로 분쇄해 물약의 형태로 제조된 제품으로, 30여년 간의 임상실험으로 약효가 입증됐다. 캉푸신예(康复新液)는 위궤양과 상처 치료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또 호흡기 질환 개선 물론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하오이성(好醫生)은 바퀴벌레 의약품 R&D 분야에서 매년 중국 정부로부터 수백만 위안규모의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

그 밖에도 바퀴벌레는 음식물 쓰레기처리에도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친환경 용도로도 각광받을 전망이다.

산둥성 장추(章丘) 시의 관련 기업인 차오빈농업기술(巧賓農業科技)의 대표는 “매일 30억 마리의 바퀴벌레가 15억 톤 규모의 음식물 쓰레기를 먹어 치운다”며 “ 바퀴벌레는 자신의 체중의 5%에 달하는 음식물을 섭취한다. 쓰레기 처리에 최적화된 동물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업체의 대표는 또 “ 바퀴벌레를 활용해 양계농장에 사료로도 공급한다”며 “ 바퀴벌레 파우더는 닭의 체지방 감소 및 면역력 증가에 효과적이다”고 밝혔다. 또 “ 바퀴벌레는 쇠고기 및 닭고기보다 약 20~30% 더 많은 단백질 성분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산둥(山東)성의 ‘바퀴벌레 농장’ 수는 지난 3년간 꾸준히 증가해 현재 400여개에 달한다. 바퀴벌레 농장주들은 바퀴벌레 알, 번데기를 생산해 제약 업체 혹은 쓰레기 처리 업체에 판매하고 있다.

dongxua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