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외신출처

벼랑 끝의 ‘세계화’ 지구촌 경제 향하는 곳은

기사등록 : 2018-07-21 04:4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역 세계화' '세계화 2.0' 등 시나리오 제시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근대화 이후 지구촌 경제의 뼈대를 이루고 있던 세계화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2016년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와 유럽 대륙의 포퓰리즘, 이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면전까지 맞물리면서 경제 시스템이 뿌리부터 흔들리는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표류하는 북미자유무역협상(NAFTA) 재협상은 북미 대륙의 개방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 출범을 주도했던 미국의 탈퇴 경고는 전세계를 놀라게 했다.

세계화라는 거대한 시스템이 무너질 위기라는 데 이견을 찾기 어렵다. 최근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한 연설에서 전세계를 한 단계 도약시켰던 경제 체제가 붕괴될 상황이라고 경고하는 등 석학들과 주요국 정책자들의 우려가 깊어지는 모습이다.

20일(현지시각) 필요하다면 지난해 수출액인 5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시행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접한 시장 전문가들은 무역전쟁의 장기화 가능성을 열어두는 한편 글로벌 경제의 구조적인 변화를 점치고 있다.

특히 대중 무역수지 적자를 앞세운 미국의 관세 폭격은 첨단 IT를 중심으로 미래 먹거리를 둘러싼 패권 다툼의 속성을 지니고 있어 더욱 복잡하게 얽혔다는 것이 투자자들의 진단이다.

제조업계의 공급망이 이미 혼란에 빠진 가운데 기존의 무역 질서 해체에 따른 잠재적인 손실은 간단한 조사 결과만 보더라도 명확하게 드러난다.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 따르면 애플의 주력 상품인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되는 부품만 이용해 전면 국내 생산할 경우 비용이 한 대당 100달러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프랑스 중앙은행이 무역전쟁으로 인해 전세계 GDP가 최대 3% 위축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는 한편 IMF와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IB)이 연이어 잿빛 전망을 내놓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를 축으로 한 보호주의 정책과 관세 전면전을 돌이키기 어렵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세계화 시스템 해체에 직면한 지구촌 경제가 어디로 향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은 간단치 않은 사안이지만 이코노미스트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일본과 EU의 FTA 체결 [사진=블룸버그]

먼저, 역 세계화다. 미국의 오토바이 제조업체인 할리 데이비슨과 글로벌 자동차 메이저들은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생산 라인을 해외 현지 시장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세계화 체제가 자리잡기 이전의 모습인 ‘로컬라이징(현지화)’이 점차 두드러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개방 경제 시스템이 창출한 가치인 비교우위를 차단하는 한편 운송부터 고용, 외환시장까지 곳곳으로 직간접적인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국경의 제약에서 자유로웠던 다국적 기업들의 전반적인 비용 부담이 상승할 여지가 높고, 공급망 재구성에 따른 국가별 경제적 희비가 크게 교차할 전망이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이른바 ‘세계화 2.0’이다. 자유무역을 지키기를 원하는 국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협정이 이뤄지면서 이들 국가와 미국을 포함해 보호주의 정책을 고집하는 국가를 양분하는 신 개념의 세계화가 부상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실제로 일본과 EU가 지난 17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 자동차부터 식품까지 무역 장벽을 제거하기로 했다.

지정학적 문제로 인해 앙숙 관계였던 중국과 인도 역시 미국의 강경한 무역 정책을 계기로 경제적인 연결고리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자유무역 시스템을 붕괴 위기에서 구해내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지만 세계 최대 경제국을 중심으로 한 무역 마찰에 따른 충격은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편 이번 주말 아르헨티나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담에서 무역 쟁점과 관세가 중점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일부 외신은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각국 대표들의 ‘타깃’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이번 회담에서 갑론을박이 뜨겁게 달아오를 뿐 건설적인 해법 마련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의견이다.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