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기획탐사

[생명, 소중함③] 죽음 경시하는 일그러진 세태

기사등록 : 2018-09-10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온라인서 자살 비하하는 세태 확산
‘자살각’ ‘재기해’…노래까지 나와 청소년 노출 심각
부산 BJ 투신 사건, 생방송 도중 네티즌이 조롱하기도
“생명·인권 경시 현상, 폭력 익숙해져 죽음 쉽게 생각”

[편집자] 자살예방은 지구촌이 안고 있는 공통과제다. 우리나라 역시 대응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한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1만명을 넘긴 지 오래다. 40분마다 1명, 하루 36명이 생명의 끈을 놓는 한국은 경재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최고의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생명 경시 풍조가 만연해 위기감이 고조된다. 지금 이 순간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을 지 모를 자살. ‘세계 자살예방의 날’을 맞아 그 심각성을 짚어보고, 변화하는 시대상에 맞춘 예방법을 살펴봤다.

[서울=뉴스핌] 박진범 기자 = ‘자살각이다’ ‘재기해’ ‘이번 생은 망했습니다’ ‘인생 리셋 추천’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번지는 유행어다. ‘자살각’은 자살의 각도 혹은 사이즈, 즉 자살할만한 상황이 나왔다는 뜻으로 청소년들이 자주 사용한다. ‘재기해’는 2013년 투신한 남성인권운동가 고 성재기씨의 죽음을 비하한 말이다. 극단주의 성향 페미니스트들이 ‘죽어버려라’는 의미로 남용하고 있다. 

‘이생망’ ‘인생 리셋’은 자살과 생에 대한 자조를 담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풍자라고 보기에는 다소 지나친 감이 있다. 이외에 극우 성향 네티즌이 전직 대통령의 죽음을 조롱하며 사용하는 ‘운지’ 등 입에 담기 힘든 말들이 쏟아진다. 모두 인간 존엄성을 무너뜨린 사례다.

자살, 나아가 생명을 가볍게 보는 세태가 점점 확산되고 있다. 죽음을 대하는 어긋난 자세가 사회 전체를 병들게 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일명 '대박자송' 콘텐츠 [사진=유튜브 캡처]

지난 6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일명 ‘대박자’를 유해콘텐츠로 지정해달라는 글이 올라왔다. ‘대박자송’으로도 불리는 이 노래는 ‘대가리 박고 자살하자’의 줄임말로 한 그룹가수가 만든 후크송이다. 자살을 종용하는 듯한 가사가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가사는 섬뜩한데 인기는 엄청났다. 관련 콘텐츠들이 유튜브에서 지난해 조회수 146만회, 올해 93만회를 각각 기록했다. 중독성 있는 멜로디 탓에 초등학생 사이에서도 유행처럼 번져 논란을 불렀다. 어린이들이 ‘자살하자’고 노래를 부른다니 경천동지할 일이다.

지난 3월에는 일부 네티즌들이 살기 싫다는 BJ(방송진행자)를 조롱한 사건이 공분을 샀다. 9일 부산 사상경찰서에 따르면 올해 3월 5일 인터넷 생방송을 하던 30대 여성 A씨가 갑자기 투신해 숨졌다. 생방송 도중에 일어난 일이라 엄청난 충격을 안겼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남편과 이혼한 후 경제적으로 어려워지면서 우울증에 시달렸다. 이후 자신이 진행하던 인터넷 방송에서 ‘투신하겠다’는 말을 반복했다. 그런데 사건 당일 방송을 보던 시청자 일부가 ‘뛰어내려라’고 조롱했고, A씨는 기르던 반려견을 끌어안고 8층 건물에서 몸을 던졌다.

A씨의 비극이 세간에 알려지면서 엄청난 비판이 일었다. 해당 네티즌들에게 자살방조죄를 적용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담당 경찰관은 “일부에서 장난삼아 ‘뛰어내려라’고 했다"며 "그렇지만 심리적으로 어려웠던 고인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투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자살 종용 여부를 떠나서 죽음을 얼마나 가볍게 여겼는지 보여주는 사건이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에 생명과 인권에 대한 경시 현상이 만연해 있다고 꼬집는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학생과 젊은 이들이 경쟁사회에 찌들고, 자극적인 문화에 쉽게 노출되면서 건드려서는 안 되는 영역까지 침범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임 교수는 이어 “거칠고 폭력적인 콘텐츠, 자극적인 가상문화를 통해 죽음을 쉽게 접하고, 폭력에 익숙해지는 것도 문제”라며 “이런 사회에서 상대방에 대한 배려, 생명 존중에 대한 가치를 학습하고 배우기가 쉽지 않다“고 아쉬워했다.

beo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