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피플

'신과 함께' 대박난 사나이…'흥행 족집게' 변신

기사등록 : 2018-09-22 06:1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뱅커스토리] 윤동희 IBK기업은행 문화콘텐츠금융부장
영화·드라마·공연 등에 매년 4000억 이상 투자

[서울=뉴스핌] 최유리 기자 = 아내가 졸라야 영화관을 찾던 50대 남자가 달라졌다. 1주일에 적어도 한 편씩 영화 시나리오를 들여다보고 틈만 나면 시사회를 찾는다. 영화관에서 꾸벅꾸벅 조는 일은 이제 없다. 흥행 포인트를 집어내고 주변 관객들 반응까지 살피며 영화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윤동희(50) IBK기업은행 문화콘텐츠금융부장의 얘기다. 문화콘텐츠금융부(문콘부)는 영화, 드라마, 공연 등에 투자하는 업무를 한다. 지난해 8월 이 부서로 온 윤 부장은 새로운 세상을 만났다.

윤동희 기업은행 문화콘텐츠금융팀장 /이형석 기자 leehs@

◆ '신과 함께' 1400만 빅 히트…수익률 192% '럭키'

1991년 입행한 윤 부장은 인력개발부, 미래기획실, 전략기획부, 강남지점장(신사동·양재역) 등을 거쳤다. 은행원이라면 누구나 원하는 부서를 두루 경험해 스스로 '운이 좋은 사람'이라 평한다.

27년 차 베테랑에게도 문콘부는 새로운 도전이었다. 되도록 보수적으로 자산을 운용하는 은행권에서 고위험군으로 꼽히는 문화콘텐츠에 투자하는 부서였기 때문이다. 2012년 국내 은행권에서는 처음으로 콘텐츠 투자 전담 부서로 출발해 새로운 길이기도 했다.

"은행 대출에선 100개 중 하나의 실수가 있으면 전체적으로도 잘못한 일이 됩니다. 반면 흥행 산업에 투자하는 문콘부는 언제든 리스크를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어야 하죠. 차이가 크지만 해볼 만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남들이 가지 않은 영역을 특화시킬 수 있으니까요."

문콘부는 일반 은행부서보다 조직문화가 유연하다. 시나리오를 두고 끝장토론을 하는 주간회의에서 윤 부장은 한발 물러선다. 20대 젊은 직원부터 의견을 말하고 그는 이를 취합하는 역할을 한다. 근무시간에 영화 시사회를 다니며 시장을 파악해야 하니 자리에 붙어 있을 수 없다.

다른 분위기 속에서 윤 부장도 시행착오를 겪었다. 문콘부로 오자마자 시나리오를 받았던 '범죄도시'가 그것이다. "내가 누군지 아니?"라는 장첸의 연변 사투리로 히트 친 영화를 놓쳤기 때문이다.

"잔인한 요소가 있어 관객층이 제한적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시사회를 보고 결정하자고 할 정도로 끝까지 고민했던 작품이죠. 결국 투자를 하지 않았고 영화는 예상외로 흥행했어요. 이를 계기로 갖고 있는 생각의 틀을 깨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경험은 약이 됐다. 생각을 바꾸니 숨어 있던 작품들이 눈에 들어왔다. 그 결과 기대 이상의 성적으로 손익분기점을 돌파한 '리틀 포레스트' 같은 영화도 나왔다. 청춘들의 잔잔한 일상을 담은 이 영화는 자극적인 스토리나 화려한 볼거리가 없다. 그럼에도 쉬어갈 수 있는 ‘힐링 영화’를 원하는 관객이 있을 것이라고 본 윤 부장의 판단은 적중했다.

이 외에 지난해 투자한 '신과 함께'는 누적 관객 1400만명을 넘어서며 역대 흥행 성적 2위를 기록했다. 최근 개봉한 '신과 함께-인과연' 역시 관객 1000만명을 돌파해 '쌍천만' 타이틀을 달았다. 직접투자 방식으로 지원한 영화 '럭키'는 수익률 192.5%로 문콘부가 투자한 작품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렸다.

◆ 이미지 제고 효과는 '덤'…베스트 플레이어로 '도약'

윤동희 기업은행 문화콘텐츠금융팀장 /이형석 기자 leehs@

문콘부가 수익만 좇는 것은 아니다. 문화 산업의 생태계를 키우기 위해 저예산 영화나 다양성 영화에도 투자한다. 저예산 영화인 '아이 캔 스피크', '올드 마린보이', '소공녀' 뒤에는 문콘부의 지원이 있었다. 영화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몇몇 블록버스터에 투자금이 쏠려선 안 된다고 윤 부장은 강조했다.

"강남지점장으로 있었을 때도 비슷한 철학을 갖고 있었습니다. 당시 1등 지점이 되자는 목표 대신 건강한 지점을 강조했죠. 단기적인 성과를 위해 관리하기 어려운 지역 고객까지 무리해서 끌어오지 않았습니다. 부실 관리를 위해 기업 대출도 꼼꼼하게 관리했고요."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자 부가적인 이익이 따라왔다. 투자수익 외에 기업은행에 대한 이미지 제고 효과를 톡톡히 봤기 때문이다.

"중국 공상은행 직원이 한국 드라마를 보고 기업은행을 알게 됐다고 하더라고요. 드라마나 영화가 끝날 때 노출되는 기업은행 로고를 본 거죠. 국책은행이라는 다소 딱딱한 이미지를 친숙하게 만들고 해외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는 데 한몫했다고 봅니다."

'퍼스트 무버'로 출발했던 문콘부는 이제 '베스트 플레이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간접투자만 하고 있는 게임, 음반 등에 직접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다양한 문화 산업군 고객들을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도 구상 중이다.

"문화나 콘텐츠 관련 금융서비스가 필요할 때 기업은행을 가장 먼저 찾게 하는 게 문콘부의 목표입니다. 지금도 다른 은행들이 콘텐츠 분야에 관심을 갖고 기업은행을 벤치마킹하려 하니 절반은 성공한 셈이죠. 수익이 잘 나오고 비계량적인 효과도 지속된다면 문화 관련 금융서비스도 더 다양해질 겁니다."

yrcho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