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사회

"손님 덜 와도 돼"..젠트리피케이션 올까 입소문 꺼리는 상인들

기사등록 : 2018-12-11 14:2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핫플레이스' 익선동·문래동 젠트리피케이션 확산
임대료 상승 우려에 상권 인기 걱정되는 역설
젠트리피케이션 부작용 최소화할 정책 마련·인식 변화 필요

[서울=뉴스핌] 윤혜원 기자 = 최근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서울 익선동과 문래동 등까지 젠트리피케이션이 확산한 가운데 상인들이 젠트리피케이션의 여파로 거리에서 밀려났거나, 밀려날 게 두려워 입소문을 꺼리고 있다. ‘손님은 다다익선(多多益善)’ ‘유명세는 고고익선(高高益善)’이라는 기존의 상식이 깨질 정도로 젠트리피케이션이 야기한 임대료 인상이 상인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상인들에게 피해를 야기할 뿐 아니라 상권의 공멸을 초래하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인, 건물주 등의 상생을 유도할 정책과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서울 종로구 익선동의 골목길. 2018.12.11. [사진=윤혜원 기자]

2년 여 전부터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서울 종로구 익선동의 부동산 시세는 인기를 입증하듯 크게 올랐다. 11일 익선동 인근 A공인중개사에 따르면 익선동 중심가에 위치한 한 건물의 임대료는 2년 전 평당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 150만원이었지만 현재 7000만원에 400만원까지 뛰었다. A공인중개사는 “월세가 700~800만원을 호가하는 가게도 있다”며 “2~3년 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2배 정도 올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상권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입점 경쟁이 치열해지고 부동산 가격이 올라 기존의 상인이나 주민들이 떠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은 익선동에서도 진행 중이었다. 3개 골목에 110채의 한옥이 빼곡히 모여 있는 익선동은 과거 한복거리로 이름을 날렸다. 한복을 짓고 전통악기를 파는 가게가 많아 국악인들이 자주 찾곤 했던 곳이다. 그러나 익선동에 복고풍 가게들이 들어서며 나들이와 관광 등을 위해 찾는 곳으로 바뀌어가자 한복집들은 자취를 감추고 있다.

30년 동안 익선동에서 한복집을 운영해왔다는 B(71·여)씨는 올해 말 임대 재계약에서 월세가 오르면 가게를 비워야 하는 상황이다. B씨는 “임대료 못 낸 한복집들은 인적 드문 골목으로 쫓겨나고, 거기도 월세가 오르면 또 쫓겨난다”며 “‘개꽁(삯바느질을 뜻하는 은어)’하는 사람들이 벌면 얼마나 벌겠냐. 임대료 오르면 떠나는 건 시간 문제”라고 한탄했다.

익선동에 비교적 새로이 들어선 점포들의 사정도 좋은 건 아니다. 익선동이 인기를 끈 데 한몫한 카페, 식당, 잡화점 등도 임대료 인상의 압박에서 자유롭지 않다. 익선동 골목에서 3년 정도 카페를 꾸려온 C(39)씨는 “임대차 재계약 시기가 다가오면 세입자는 걱정될 수밖에 없다‘며 ”익선동이 유명해지기 전보다 월세가 2~3배가량 올랐는데 손님은 언제까지 많이 올지 불투명해 불안하다“고 전했다.

젠트리피케이션의 영향력이 거세다 보니 임대료 상승에서 빗겨간 상인들은 유명세를 기피하고 있다. 입소문이 나서 상권이 뜨고 월세가 비싸지느니 손님을 덜 받고 매출이 유지되더라도 기존의 임대료를 내는 편이 더 이득이라는 판단이다. 이른바 ‘혐핫(핫해지는 것이 싫은 현상)’이다. 익선동 번화가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D(60·여)씨는 “상권이 유명해져서 손님 10~20명 더 받고 임대료 더 내는 것보다 유명해지지 않고 지금처럼 단골장사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최근 익선동과 함께 재조명되고 있는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에서도 상인들의 고민은 비슷했다. 2달여 전 문래동 공업소 거리 주변에 술집을 연 E(30)씨는 “이전 임차인이 월세를 60만원 냈는데 나는 100만원을 내고 들어왔다”며 “막 가게를 시작한 만큼 손님이 오면 좋겠지만, 손님이 너무 많아져서 월세가 오르면 곤란할 것”이라고 복잡한 심경을 전했다.

전문가는 상권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젠트리피케이션의 악영향을 완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상인들을 위협할 뿐 아니라 출혈경쟁으로 인한 상권의 쇠퇴를 초래할 수 있어 그 부작용을 관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희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삼청동, 경리단길 등 단기적 이익에 집착해 서로 피해를 주고 결과적으로 상권 자체가 위축됐던 사례에서 학습할 시점”이라며 “상인, 건물주 등이 지속가능한 공동체와 동반자 의식 하에 상권의 질서를 구축하는 ‘자생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세제, 임대차 정책 등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hwyoo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