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강원

2018동해포럼…환동해권 복합물류거점 구현

기사등록 : 2018-12-12 16:5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나진경제특구 공장 조성 등 동해 복합물류 비즈모델 제시

[동해=뉴스핌] 이형섭 기자 = 2018 동해포럼이 12일 강원 동해시 현진관광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날 포럼은 북방경제시대를 열어가는 환동해권 복합물류거점을 구현하기 위한 동해항 활성화 방안이 중점 논의됐다.

심규언 동해시장이 2018동해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동해=뉴스핌] 이형섭 기자.

기조강연에 나선 이승환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장은 남북교류협력 현황과 전망에 대해 비핵화·종전선언·제재완화 선순환을 통해 남·북·미간 본질적 신뢰를 증진할 수 있다면 비핵화 협상 기본 동력은 유지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경제발전총력집중노선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북한과 북한을 동아시아의 베트남으로 이끌려는 미국의 이해관계가 큰 틀에서 일치하고 있는 점 때문에 현재 나타나고 있는 비핵화 프로세스의 지체와 이를 둘러싼 북미간 갈등에도 불구하고 향후 비핵화 협상이 비관적이라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로 사실상 북핵 동결이 시작된 점을 고려하면 싱가포르 선언 이후 비핵화 로드맵은 남북미 3자 종전선언 등 정전체제의 실질적 청산작업과 부분적 대북제재 완화조치를 거쳐 2020년 이내 비핵화의 핵심과정 완료, 북미수교, 대북제재 완전해제 등 안전보장 조치 완료의 출구를 빠져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동해항 거점 에너지·자원기업 협력 추진

이인우 한국광물자원공사 남북자워개발사업단장은 북한의 광물자원현황과 개발 가능성에 대해 부족한 인프라와 대규모 개발 한계, 경제성 확보 불투명, 사회주의 시스템의 생산성 부족문제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단장은 이같은 북한 문제점을 들면서 북한의 핵심자원인 석회석, 철, 무연탄, 연아연, 마그네사이트 등 5대 핵심광종을 선정해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동해시 및 도내 공기업 협업을 통한 사전 준비와 가칭 동해시 에너지·자원 교류협력 협의회 개최 추진, 북·중 접경지역 도시와 자매결연 등을 통해 경제협력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북한산 석탄 동해화력발전소 시험공급, 경제자유구역내 자원산업 집중지원 등을 통한 에너지·자원벨트 거점화, 광물자원 물류센터 설립 등 동해항 거점 에너지·자원기업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콜드체인 등 동해 복합물류 비즈모델 제시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장은 남북교류와 해운항만의 역할에 대해 현재 중국은 18세기 이전 중국 ‘부’ 재건을 위해 해상/육상루트 따라 정치, 경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일대일로를 추진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신동방정책으로 극동 경제성장과 정치적 영향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일본은 세계 인프라 투자를 2000억 달러로 확대하면서 유라시아 영향력 제고 및 중러 영향을 견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우리 정부와 지자체가 북방물류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해륙복합물류네트워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강원도와 동해시 등 지자체는 동해·속초~나진 등 북한 항만들로 공산품을 수출하는 항로를 조기에 개설하고 나선경제특구 인근 지역에 조립 통해 완성차를 생산하는 제2공장을 조성하는 등 동해 복합물류 비즈모델을 제시했다.

또 식품을 이용한 콜드체인, 4계절 크루즈 운영 등 미래 지향적 발전방향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환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장이 남북교류협력 현황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동해=뉴스핌] 이형섭 기자.

◆북방경제협력 다각화 추진

김재진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 남북 강원도 교류협력 추진방향에 대해 DMZ의 평화지대화, 국제 평화지역과의 연대, 신 남북교류협력 선도, 북극 연구탐사허브 등 북방경제협력의 다각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남북 강원도의 균형발전 구현, 수도권·동해안 연결의 북방교역 교두보 마련과 국토의 동서축 확립,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의 연계 등 강원 평화경제이니셔티브의 기본틀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남북 강원도의 동질성 회복을 넘어 글로벌 수준의 문화 보편성·특수성 확립, 강원도형 남북스포츠 교류협력 모델 발굴, 동북아 녹색벨트 조성, 북 강원도 농업의 자립화와 남북 강원도 농업농촌 상생협력, 남북공동시장 조성, 통일특구 조성, 접경지역 친환경에너지 벨트 구축, DMZ와 인근 접경지역 생태환경 복원 등 대북교류협력을 심화·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농업·산림 등 인도적 지원, 스포츠·사회문화 교류, 남측구간 교통 SOC 구축, 평화특별자치도 등 법·제도 기반 구축, 원산~강릉 국제관광자유지대 협력 본격화, 기초자치단체 자매결연 활성화, 생태환경·에너지·개발지원 협력 본격화, 해양수산 협력, 경제협력, 러시아 천연가스파이프라인 인입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김 연구원은 지역주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통일교육이 필요하고 대학 등 학제간 교류 및 협력 추진 등 사회문화 통합을 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경제, 교육, 농업, 문화, 예술 등 분야별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도 및 시군, 대학 등 교육기관, 시민단체 등 분야별 역할을 정립하고 통합적·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도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onemoregiv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