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정치

유튜브에 발 담근 SNS 정치..핵사이다 가장한 갈등유발자?

기사등록 : 2019-01-13 19: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과열된 SNS 정치 두고 “갈등 확대·생산” VS “소통 활성화” 팽팽
"자극적인 소재는 마약 같은 것" 갈등 유발한다는 지적에
"입맛에 맞는 기사를 취사선택하는 매체에 대한 불만" 반론도
일부 전문가 “과한 방송 제재할 법적 논의 이뤄져야” 지적

[서울=뉴스핌] 조재완 기자 = “들어오시라. 한 번 해 보자.”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에게 공개적으로 내민 도전장이다. 유 이사장이 팟캐스트 방송 ‘알릴레오’로 유튜브에 입성한다는 소식에 나온 발언이다. 

정치권은 그야말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전쟁’ 중이다. 최근 유 이사장과 홍 전 대표가 성공적으로 유튜브에 등판해 흥행돌풍을 일으키면서 경쟁은 더욱 과열되는 양상이다. 거침없는 입담으로 ‘자기PR’에 제대로 성공한 인사가 있는 반면, 이슈 선점에 실패한 일부 야권에선 지지층 이탈에 대한 위기감도 조성됐다.

여야가 너도나도 SNS 정치에 혈안이 된 가운데 이를 둘러싼 의견은 갈리는 분위기다.

◆ 치열해진 정치권 SNS, 어떻게 봐야하나…“갈등 확대·생산” VS “소통 활성화”

무엇보다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선이 적지 않다.

경쟁이 과열되는 만큼 인기몰이식 선정적 발언이나 검증되지 않은 추측성 주장도 늘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SNS 정치가 젠더·세대·이념 등 사회 갈등을 부채질하고 확대·재생산한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의 'TV홍카콜라' 방송 [이미지 캡쳐=TV홍카콜라 유튜브]

홍 전 대표가 진행하는 유튜브 방송 ‘TV홍카콜라’는 시청자들의 오감을 자극해 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대표적 사례다. 자극적이고 근거 없는 말들이 쏟아진다. 

첫 방송부터 홍 전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 성사를 위해 모종의 거래를 했을 것”이라고 하거나 “북한이 김대중·노무현 정권 시절 68억달러를 지원 받았고, 남북정상회담 대가로 비밀리에 5억달러를 받았다”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한 근거는 없다.

일각에선 홍 전 대표가 당권을 노린 노이즈마케팅을 벌인다는 해석도 나온다. 홍카콜라 구독자는 13일 오후 기준 23만8100명이다.

일부 인사들의 SNS가 민감한 사회 갈등에 기름을 붓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바른미래당의 이준석·하태경 최고위원은 젠더 이슈를 정치 영역으로 끌어들여 지지층 저변을 넓히고 있다. 이들은 SNS를 적극 활용, 소위 ‘젠더 개념’있는 보수층 대표인사로서 브랜딩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부가 여성중심’이라며 등돌린 20대 남성을 중심으로 특히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중이다.

하 의원은 지난 11일 페이스북에 ‘소외받는 20대 남성을 위해 노력해줘 감사하다’는 지지층 문자메시지를 공개하며 “최근 2030세대 지지와 후원이 쇄도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 하태경 이준석, 워마드와의 전쟁 선포하자..신지예 "정치 왜 하나"

하지만 극단주의 성향의 커뮤니티 ‘워마드’와 전쟁을 선포하는 등 갈등을 해소하기보다 키우는 쪽으로 기울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준석 위원은 지난 4일 “2019년을 워마드 종말의 해로 만들어 주겠다”며 선전포고 했다.

이에 신지예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은 같은 날 트위터로 “하태경과 이준석씨는 왜 정치 하십니까”라며 “국민과 싸우지말고 사회 문제와 싸우세요”라고 지적했다.

정혜연 정의당 부대표도 7일 “바른미래당의 청년정치인 이름을 내세운 이들이 젠더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대신, 도리어 불화와 반목에 기름을 끼얹으며 정치적 입지를 쌓으려 한다”며 “젠더 갈등을 부추겨 정치적 이익 얻으려는 나쁜 정치는 이제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지예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이 지난 4일 트위터로 '워마드'에 선전포고한 이준석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에 "국민과 싸우지말고 문제와 싸워라"고 지적했다. [이미지 캡쳐=신지예 위원장 트위터]

최재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 교수는 “자극적인 소재는 마약 같은 것”이라고 설명한다. SNS 특성상 소재가 점차 자극적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SNS에선 콘텐츠를 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중요하다”며 “사람들은 일반적이고 평범한 것엔 흥미 없다. 콘텐츠도 자연히 자극적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자극적인 얘기를 하다보면 결국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게 되기 마련”이라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높은 스마트폰 사용률로 인한 파급력을 우려 요인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국민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쓰는 상황에서 누구나 쉽게 (SNS)에 접근할 수 있다”며 “이에 따른 영향력은 문제를 확산하는 또 다른 요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갤럽이 지난해 7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20대 스마트폰 사용률은 100%, 30~40대 사용률도 99%에 육박한다.

그는 “이런 뉴미디어 시대에서 허위·조작 정보가 더 많이 생산되고 조장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있다”며 “하나로 연결된 SNS 구조는 허위정보가 확산될 수 있는 토양인 셈”이라고 우려했다.

5일 자정 공개된 팟캐스트 방송 '유시민의 알릴레오' [이미지 캡쳐=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 유튜브]

다만 너무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는 시각도 있다. 배상복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부국장은 “SNS 소재가 자극적으로 간다손 치더라도 좌우 진영의 특성에 따른 것일 뿐”이라며 “사람들은 어차피 입맛에 맞는 채널로 간다. 지나치게 자극적인 뉴스나 가짜뉴스를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봤다.

그는 “지금으로서는 가짜뉴스를 처벌할 법적장치도 없을 뿐더러 성숙한 시민의식이 일정 부분 자정 작용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히려 소통 측면에서 나아졌다는 평가도 나왔다. 배 교수는 “매체들이 입맛에 맞는 기사를 취사선택하는 데 그간 불만도 있었다”며 “정치권 인사들이 직접 유튜브를 하고, 생각이 맞는 방송에 패널로 출연하기도 하니 소통 측면에선 이전보다 나아졌다”고 평가했다. 

◆ 향후 경쟁 과열 ‘불 보듯’…“약에 쓰려 노력해야·법적 규제 논의도”

SNS 정치 경쟁은 더욱 과열될 전망이다. 연일 흥행몰이 중인 홍카콜라와 알릴레오를 중심으로 진영 간 시작된 ‘유튜브 대전’은 치열해질 것이란 세간 분석이 나온다.

SNS에 영 어울릴 것 같지 않는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민주당 유튜브 채널 ‘씀’ 지원사격에 나섰다. 전략은 역시 ‘거침없는 입담’이다. 이 대표의 직설적인 화법으로 고전 중인 씀에 다시 불을 붙이겠다는 것이다.

씀의 구독자는 13일 오후 기준 2만6000여명이다. 같은 시각 알릴레오 구독자 60만명과 비교하면 이 대표의 말대로 '헬리콥터 앞 선풍기'다. 이 대표는 지난 8일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방송인 강성범과 녹화촬영을 마쳤다. 오는 14일 방송된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수습기자 =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유튜브 ‘씀’ 촬영을 하고 있다. pangbin@newspim.com
최경진 대구가톨릭대 교수는 “당분간 유튜브를 중심으로 한 경쟁은 더욱 극심해질 것”이라며 “콘텐츠도 더 자극적으로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유튜브상 이런저런 정치적 발언들이 쏟아지나 정제되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또 사실에 전혀 맞지 않는 페이크뉴스가 나오는 게 현실”이라며 이를 제지할 이렇다할 방안은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유튜브는 유해 방송 콘텐츠를 제재하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대상이 아니다. 방송을 제재할 법적 규제나 제재 방안도 없다. 다만 최 교수는 “현 단계로서는 이에 대한 우려섞인 여론이 나오는 정도이나 우려가 점차 쌓이면 구체적인 법적 규제를 논의하는 단계로 넘어갈 것”이라고 봤다.

최재봉 교수는 “SNS는 양날의 검”이라며 “잘못 활용하면 독이 되나 잘 활용하면 약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언제든 현안에 관해 유권자·시민·국민들과 소통할 수 있으니 잘 활용하면 정치인들이 본인들의 정책 대안과 이데올리기를 쉽게 알리고 홍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편으론 SNS가 자극적으로 나아가는 ‘독’이 될 수도 있으니 어떻게 현명하게 활용할 지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hojw@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