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오피니언

[기자수첩] '녹조 생수 파문' 크리스탈 해명의 오류

기사등록 : 2020-12-30 13: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생수공장이 산 속에 있는데 이 곳에 녹조포자가 떠다니다보니 생수 속 녹조유입을 막을 수 없습니다. 현재까지 녹조를 걸러낼 정수기술도 개발되지 않았구요."

최근 녹조 생수 파문을 일으킨 크리스탈 생수 제조사 씨엠 총괄상무의 해명이다. 이 말이 사실이면 산 속에 취수장이 있는 생수 공장들은 녹조 포비아(공포증, phobia)를 겪는다는 말이다. 하지만 취재과정에서 그런 곳은 접하지 못했다.

김지완 뉴스핌 미래산업부 기자.

우선 크리스탈 측의 해명은 과학적으론 설명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녹조 포자는 공기중에 떠다니지 않는다. 식물생태학 전공의 이규배 조선대 생물교육과 교수는 "생수 속 녹조 포자가 공기 중에서 유입된다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 녹조류 포자는 그들이 사는 물 속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지난 2017년 한국생명과학회에 '수염녹두말속(Chlamydomonas) 단세포 녹조의 유성생식' 논문을 게재했다. 그는 해당 논문에서 전세계 588종의 녹조를 살펴보고, 녹조 유성 생식 과정을 소상히 기술했다.

취수지에서 미생물 성장 가능성도 없다. 크리스탈은 생수 취수지를 '지하 200m 암반수'라고 소개했다. 이에 대해 박종현 과학커뮤니케이터는 "지하 200m에선 미생물이 생존할 수 없다. 조류 유입 외 녹조 생성을 설명할 수 없다"고 답했다. 녹조 자체가 햇빛이 없는 곳에서 광합성 할 수 없기 때문에 번식과 생성이 이뤄질 수 없다는 얘기다.

공기중 미생물 유입에 대해서도 관련업계 전문가들은 선을 긋는다. 국내 한 주류업체 생산본부장은 "공장 출입구에 에어커튼 방식으로 설치된 살균 공기청정기가 공기중 박테리아·바이러스를 완벽히 제거한다"며 "이를 통해 미생물 유입을 완벽히 차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기 중 미생물 유입 우려가 크다면, 음압 시설로도 해결할 수 있다. 공장 내·외부 기압차를 달리해 공기 이동을 차단하면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 중론이다. 코로나 음압병실도 같은 원리다.

생수 생산 중 외부 공기와 접촉할 가능성도 사실상 거의 없다. 동원샘물 정수공정을 살펴보면, 지하에서 취수된 물은 파이프라인을 통해 모래 여과기→활성탄 여과기→1차 처리수 저장탱크→맴브레인 필터→세라믹 필터 →1차 자외선 살균기→2차 처리수 저장탱크→2차 자외선 살균기 등을 거친다. 이후 살균·세척된 공병에 담겨지고, PET병 마개를 씌우는 '캡핑'을 진행한다.

즉, 정수과정에선 파이프를 통해 물이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도 않는다. 수도꼭지를 통해 PET병에 물이 담기는 순간이 생수와 외부공기가 접촉하는 때다. 결국 이 순간 녹조 포자가 생수에 침투했다는 게 크리스탈측 주장인 셈이다. 

녹조 정수기술이 개발되지 않았다는 말도 사실과 달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지난 2017년 과망가니즈산칼륨(KMnO₄)을 이용해 녹조가 생긴 물을 정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기술은 오존 정수처리용 산화제인 염소와 오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정수기술로, 이후 현장 적용이 가능한 수처리제 약품 사용 인증을 받았다.

뷰로베리타스 관계자는 "먹는샘물 공장 배관들 일부가 생수 생산시설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인 곳도 있다"며 "이는 녹조같은 미생물 증식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기적으로 배관청소를 해야 하는데, 국내법상 배관청소에 화학약품을 쓸 수 없게 돼 있다"면서 "결국 고압세척을 해야되는데, 배관라인이 이에 적합치 않으면 청소를 해도 녹조가 남아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뷰로베리타스는 190년 역사의 프랑스 국제인증 및 공인검사기관이다. 뉴스핌과 인터뷰한 이 관계자는 인증검사를 위헤 국내 생수공장 대부분을 다녀봤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녹조는 강이나 호수에 조류(藻類)가 과도하게 번식해 물 색깔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남조류(藍藻類)의 과도한 번식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고, 이 과정에서 '마이크로시스틴-LR'이라는 신경독소가 나온다.

현재 크리스탈 측은 사과문, 재발방지 약속 하나 없이 계속 생수를 생산하고 판매 중이다. 최근 뉴스핌 보도 이후로는 홈페이지마저 폐쇄, 고객 목소리에도 귀를 닫았다. 크리스탈 관계자들에게 묻고 싶다.

"그 생수 진짜 당신네 광고처럼 사랑하는 아이와 가족, 친구, 연인들이 안심하고 매일 마셔도 되나요?"

swiss2pac@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