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8-10-18 09:14
[세종=뉴스핌] 이규하 기자 = 갈수록 초미세먼지의 위력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항만 미세먼지의 저감대책에 강한 드라이브가 요구되고 있다. 미세먼지의 상당량이 항만에서 집중 배출되고 있어, 각 항만공사들의 저감 노력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1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종회 의원(민주평화당)이 공개한 ‘국립환경과학원의 미세먼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산의 미세먼지 발생원 51.4%가 선박에서 발생했다.
울산과 인천의 경우도 미세먼지 발생원 중 선박이 각각 18.7%, 14.1%를 차지했다. 벙커C유 등 질 낮은 연료를 주로 사용하는 선박은 초미세먼지를 비롯해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대기 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최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분석 자료를 보면, 컨테이너 선박 1척이 배출하는 SOx는 디젤승용차 5000만대, 초미세먼지는 트럭 50만대 분량에 달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지난해 9월부터 초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하는 등 본격적인 부산 북항의 초미세먼지 발생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문제는 미세먼지 발생현황 파악하는 곳이 부산항만공사 한 곳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여전히 미세먼지 측정기 설치 계획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게 김종회 의원의 문제제기다.
울산항만공사의 경우는 2억5000원만에 달하는 측정기 대신 대당 200만원짜리 간이 측정기를 운용 중이다. 제대로 된 장비의 설치까지는 한 해가 넘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올 12월 대기오염측정기를 시운전할 예정에 있다.
김 의원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항만공사의 적극적, 능동적인 대책마련이 촉구된다”며 “LNG 등을 원료로 쓰는 친환경 하역장비와 선박 확대, 대형선박이 정박해 있는 동안 엔진을 끄고 육상 전력을 끌어다 쓸 시스템(AMP) 마련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jud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