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뉴스핌] 이현경 기자 = 20년간 보수 과정을 거치고 새 모습을 찾은 국보 11호 미륵사지 석탑이 30일 세상에 공개됐다.
4월의 마지막 날, 전북 익산 미륵사지터에서 열린 석탑 보수정비 준공식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미륵사지 석탑을 보려는 사람들의 열기로 가득했다. 정재숙 문화재청장을 비롯해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장 최종덕, 송하진 전라북도지사, 정헌율 익산시장, 이의상 석장, 이재순 석장, 임동조 석장, 시민 600여명 등 2000여명이 현장을 찾았다.
이어 “저희는 체계적인 조사 연구를 통해 미륵사지 석탑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자 애썼다. 1300여 년의 시간을 돌아보고 앞으로 또 1000년의 시간을 신중하게 내다봤다”며 “20년간 연 인원 12만명이 우리 석탑에 힘을 보탰다. 이 탑이 문화재보수정비의 새로운 시작을 알려주는 금자탑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불교계를 대표해 참석한 월주 스님은 “역사적인 미륵사지 석탑 제막식을 기쁜 마음으로 축하한다. 지난 20년간 22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복구에 만전을 기해준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의 각별한 노고로 장엄한 석탑의 원래 모습을 되찾게 돼 불교인의 한 사람으로, 국민의 한 사람으로 감개무량하다. 수고 많이 하셨고 정말 고생하셨다”고 말했다.
행사를 찾은 시민들은 석탑을 둘러보며 기쁨의 순간을 함께 했다. 탑 주변을 둘러보며 사진으로 남기느라 바빴다. 미륵사지를 사랑하는 모임의 일원인 한 시민은 “복원된 미륵사지 석탑을 보니 마음이 아주 뿌듯하다. 천천히 복원되는 게 역사적으로 낫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어 “(백제문화지역이)신라문화에 비해 소외되는 느낌이었는데 천천히 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눈앞에 보이는 것만 급급해 개발하기보다 길게 보고 가는 게 더 자랑할 만한 거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륵사지 석탑에 대한 복원 조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됐다. 1915년, 일제는 당시 6층까지 남아있던 탑의 쓰러져가는 한쪽 면에 콘크리트를 씌웠다. 콘크리트로 보강된 미륵사지 석탑을 1917년 일본인 야쓰이 세이이쓰 조사단이 촬영한 사진이 <대정6년도 고적조사보고>에 등장한다. 이 보고서는 미륵사지 석탑을 '익산군 금마면 기양리 폐 미륵사지 전경'으로 소개했다.
1974년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는 '동탑지 발굴 및 서탑 기초조사'를 시작했다. 이를 기점으로 미륵사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다. 1980~1994년까지 미륵사지가 주요 정비대상 사적에 지정되면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이 기간 5개년씩 3차에 걸쳐 전면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미륵사지는 탑과 금당이 각각 회랑으로 둘러싸여 동원, 중원, 서원의 3원으로 구성된 3탑 3금당의 독특한 가람배치로 밝혀졌다. 이는 '삼국유사' 속 기록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998년 구조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콘크리트가 노후됐고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판단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1999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해체보수가 결정됐다. 2001년부터 본격적인 해체 조사와 함께 학술조사연구와 구조보강, 보존처리 등을 시행했고 2017년 말 6층까지 석탑의 조립을 완료했다. 9층으로 지어진 목탑식 구조의 석탑으로 추정되는 미륵사지 석탑을 6층까지만 복원한 것이다. 완공된 석탑은 높이 14.5m, 너비 12.5m이며 사용된 부재는 총 1627개로 무게가 약 1830t에 이른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김현용 학예연구사는 “국보 11호이자 세계문화유산인 미륵사지 석탑(서측 탑)은 남아있는 기록을 바탕으로 복원했다. 세계문화유산에 대해서는 추정되는 부분에서 멈추라는 약속이 있다”고 밝혔다.
이후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와 관련한 포럼이 오는 5월 10일 오후 1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다. 연말에는 20년 보수‧복원 사업에 대한 보고서가 발간될 예정이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문화재 보수 복원 기간으로는 최장 기록을 갖고 있다. 복원비는 225억원으로 숭례문(250억) 다음으로 많다.
89hk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