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6800억원 규모의 누리호 반복사업이 추진된다. 이와 함께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2곳의 광역지자체도 지정된다.
정부는 7일 오후 3시 제42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계획', '우주산업 클러스터 추진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이날 심의‧확정한 2개 안건은 지난 6월 국내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우주개발진흥법 개정, 누리호 2차 발사 성공 등에 발맞춰 민간 기업 중심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수립됐다.첫 번째 안건인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계획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을 공동 주관할 체계종합기업을 선정하기 위한 계획이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모두 6873억8000만원을 투자해 누리호 반복발사 및 민간 기술이전을 통해 발사체의 신뢰성을 높이고 국내 발사체 산업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선정될 체계종합기업은 오는 2027년까지 항우연과 공동으로 누리호를 4회 반복 발사하면서 누리호 설계‧제작 및 발사에 대한 기술을 항우연으로부터 이전받는다.
과기정통부는 선정의 공정성·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기관(한국연구재단)을 통한 기술능력 평가위원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체계종합기업 공고는 이달 말에 나라장터를 통해 게시된다. 한국연구재단의 평가를 거쳐 오는 9월까지 우선협상대상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날 함께 심의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추진계획'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대비해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산업 본격 육성을 목적으로 발사체 특화지구와 위성 특화지구를 각각 지정하는 내용이다.
이번 안건의 지정 기준 및 절차에 따라, 각 특화지구의 최적 후보지를 도출할 계획이며, 해당 지자체와 협의한 후 다음달에는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지역 2곳(광역자치단체)을 지정한다.
특화지구 지정과 병행해 클러스터에 구축할 각종 인프라(연소 시험시설, 우주환경시험시설 등) 등 클러스터 사업의 세부안 추진을 위해 오는 9월에는 우주산업클러스터 세부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다. 오는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클러스터 구축 사업이 시작된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