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08-27 17:00
[세종=뉴스핌] 백승은 기자 = 배달플랫폼과 입점업체로 구성된 상생협의체가 수수료·광고비에서 보다 투명한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27일 오후 신한은행 본점에서 '배달플랫폼-상생협의체' 제3차 회의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주요 배달플랫폼, 입점업체, 공익위원, 특별위원이 자리했다. 배달플랫폼에는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땡겨요 ▲먹깨비가, 입점업체는 ▲소상공인연합회 ▲한국외식산업협회 ▲전국가맹점주협희외 등이 참석했다.오늘 회의에서는 지난 회의에서 선정된 논의주제를 기반으로 ▲수수료‧광고비 투명성 제고 ▲고객정보 등 주문 데이터 공유 ▲배달플랫폼 불공정관행 개선 ▲상설협의체 설치 등 상생기반 마련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아울러 공공배달앱인 먹깨비가 추가로 참석해 공공배달앱 활성화 방안도 발표했다.
배달플랫폼 입점업체(이하 입점업체) 측은 수수료‧광고비 관련 정보가 보다 투명하게 제공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입점 소상공인들은 주문 고객의 데이터를 알기 어려워 단골 고객 관리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 배달플랫폼의 불공정관행으로 자유로운 서비스 선택이 어려워지고 더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게 되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입점업체 측은 올해 상생협의체가 종료된 뒤에도 배달플랫폼-입점업체 간 지속적인 의견 교류를 위해 상설협의체를 구성하고, 실태조사를 실시하는 등 지속가능한 상생기반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번 3차 회의에서는 데이터 공유 등 일부 주제에 대해서는 개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으며, 개선방안은 추후 구체화해 결론을 도출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2차 회의에서 '땡겨요'(신한은행)가 공공배달앱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데 이어, 이번 회의에는 먹깨비에서 발표를 했다.
먹깨비는 11개 지자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공배달앱(수수료율 1.5%)으로, 정부 측에 공공배달앱 성장을 위한 현실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해 주길 요청했다.
이후 진행될 4차 회의에서는 중개수수료‧결제수수료 등 ▲수수료 부담 완화 방안 ▲상생방안 참여 인센티브 마련에 대해 배달플랫폼과 입점업체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정부는 상생협의체에서 생산적인 논의가 진행되어 합리적인 상생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100wi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