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1-22 17:31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의 "싹 다 정리하라"는 지시에 간첩단 사건인 줄 알았다고 밝혔다. 그는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의 통화 이후에야 정치인 체포 지시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22일 국회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1차 청문회에 출석해 계엄 선포 전후로 윤 대통령, 여 전 사령관과 나눈 통화 내용 등을 설명하며 이같이 진술했다.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일 오후 8시 22분쯤 윤 대통령이 전화 통화로 '한두 시간 후에 중요하게 전달할 사항이 있으니까 대기하라'고 말했고, 대기 중에 비상계엄 소식을 TV를 통해 접했다"고 설명했다.그는 "국정원이 국가 핵심 정보기관인데 비상 상황이라는 부분에서 정보 판단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어떻게 비상계엄이 발효됐는가"라고 생각했다며 당시 당황스러웠다고 전했다.
홍 전 차장은 "10시 53분쯤 윤 대통령에게 '이번에 다 잡아들여서 싹 다 정리하라'는 전화를 받았는데 그때 목적어가 없어서 누구를 그렇게 해야 하는지 몰랐다"라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이후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통화하며 해당 지시가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내용인 줄 알게 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홍 전 차장은 조태용 국정원장에게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보고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께서 정치인을 체포하라고 지시하셨습니다'라고는 보고하지 않았다"면서도 "정황상 관련된 보고를 드렸다"고 말했다.
이어 "더구나 11시 6분에 (여 전 사령관과) 통화하고 11시 30분에 원장님께서 지시하셔서 집무실에서 긴급 정무직 회의가 열리는데 방첩사한테 받은 내용을 알고 있는데 어떻게 말씀 안 드릴 수 있나"라고 반문했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