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3-03-26 10:48
[뉴스핌=김선엽 기자] 한국은행은 지난해 우리나라 성장률이 2.04%에 그쳤다고 밝혔다. 민간소비가 둔화되고 건설투자와 설비추자가 부진한 가운데 특히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노동소득분배율이 악화된 것이 내수부진을 심화시켰다고 평가했다.
한은이 26일 발표한 '2012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실질GDP 성장률은 2.04%에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0.3% 성장 이후 최저 수준이다.
한은은 2012년 중 수출의 증가세가 이어졌으나 민간소비가 둔화되고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부진해 전년 3.7%보다 낮은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생산측면에서는 제조업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건설업의 부진이 지속된 가운데 서비스업은 견조한 증가세가 유지됐다고 평가했다.
지난 1월 발표된 속보치와 비교해 보면 분기별로는 1분기가 0.9%에서 0.8%로 수정됐고 2분기는 0.3%로 동일했으며 3분기와 4분기가 0.1%, 0.4%에서 각각 0.0%, 0.3%로 바뀌었다. 연간 성장률은 2.02%에서 2.04%로 0.02%p 증가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경제통계국 정영택 국민계정부 부장은 기자설명회에서 "전체 소득에서 노동에 대한 대가로 분배되는 피용자 보수의 비중이 과거 시계열을 살펴봤을 때 낮아졌고 이것이 내수부진, 소비부진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1996년 62.6%를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하락, 지난해에는 59.7%까지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장기 시계열에서 볼 때 노동소득분배율이 낮아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1인당 개인총처분가능소득(PGDI: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은 1만3150달러로 전년(1만2906달러)보다 244달러 증가했다.
다음은 정영택 부장의 기자설명회 일문일답이다.
질문 : 저축률이 낮아졌는가?
답: 글로벌 위기 이후 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부진했다. 기업의 저축률은 일본 다음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기업이 저축은 늘리면서 투자를 늘리지 않는다. 또한 전체 소득에서 기업이 가져가는 소득이 가계에 비해 커 왔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질문 : 2012년에는 교역조건이 개선된 것인가?
답 : 교역조건 자체가 쭉 안 좋다. 글로벌 위기 때도 원자재에 대한 수요는 줄어서 수입가격이 수출가격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한 영향이다.
질문 : 지난해 우리 경제 성장률 순위는?
입수 가능한 우리나라 GDP 성장률 2.0%은 G20개 국가 중 러시아, 터키를 제외한 18개 국가 중에서 9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질문 : 1인당 개인총처분가능소득(PGDI)는 어떤 의미인가?
답 : 국민계정에는 개인, 기업, 정부도 있다. 1인당 국민총소득 2만2708달러에서 개인이 가져가는 것은 58% 밖에 안된다. 나머지는 기업과 정부가 가져간다. 개인이 실제로 가져가는 소득은 1만3150달러라는 의미다. PGDI는 개인의 주머니 사정과 가장 밀접한 지표다.
우리나라 GNI 대비 PGDI 비율이 58%인데 OECD 평균이 62.3%, 미국은 75.3%, 프랑스 67.1%, 독일이 65.6%, 일본 63%이다.
전체 소득에서 노동에 대한 대가로 분배되는 피용자 보수의 비중이 과거 시계열로 낮아졌고 이것이 내수부진, 소비부진에 영향을 미친다.
질문 : 수출이 4분기 -2.1%였는데 환율 영향이 반영이 된 것인지, 엔 약세도 영향을 줬는가? GDP 디플레이터가 1%로 나왔는데 이 수준이라는 것이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가?
답 : 환율의 영향이라기보다는 지난해 유로존 사태, 주요국 경기가 안 좋아서 낮아져 왔다. 엔화 얘기가 있는데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살펴봐야 한다.
GDP 디플레이터는 하나의 물가지수를 쓰는 것은 아니고 생산자물가, 소비자물가, 환율, 수출입물가가 다 들어가 있다. 지난해 1.0%에는 수출, 수입 등락률의 차이 등이 영향을 많이 줬다. 일부 기업의 영업 이익이 안 좋은 부분, 즉 이익률의 하락도 영향을 줬다.
질문 : 2011년 가계 순저축률이 지난해 발표보다 오른 이유는?
답 : 지난해 발표 때 2.7%이라고 했는데 3.1%로 0.4%p 올랐다. 데이터의 이용관계 때문에 나온 차이다.
질문 : 지난해 성장률이 2.0%인데 1월 발표 때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
답: 속보치때는 2.02%에서 이번에는 2.04%로 됐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