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3-12-18 17:02
내년 3.5% 성장률을 보이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고령화에 대비하고 그 동안 제조업에 의존해 오던 우리 경제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성장률이 과거처럼 6~7% 갈 수 없는 소득 수준이 됐고, 단순한 경제문제뿐 아니라 다변화된 의사를 조화시키는 것이 성장 모멘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성장체제에서는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올라간다는 생각이 있어서 투자가 과잉이 됐고, 자식 교육에 대해 굉장히 투자를 많이 했는데 대기업이 아무리 투자한다고 해서 그 대학생이 원하는 일자리를 얼마나 많이 만들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중국이나 인도, 동남아 등과 경쟁해야 하는 제조업종에서 국내에 만들 수 있는 일자리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결국 교육과 서비스업에서 대졸자를 위한 일자리를 만들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우리나라 중산층의 노후대책은 부동산과 자식인데 부동산 가격은 크게 올라가지 않는다고 치고, 아이들이 잘 돼 부모를 부양할 것이냐, 그것도 아니다”라며 “저성장체제로 가는 것을 잘 다뤄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이제 선진국처럼 규제완화를 하고 한계효율을 올릴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ADB는 우리나라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2.8%, 3.5%로 전망하고 있다. 이 이코노미스트는 “우리에게 좋은 뉴스는 우리의 미국 수출의존도가 높은데 미국이 좋아지는 것인데 환율 절상 가능성이 그것을 상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내년 우리경제의 하방위험에 대해 이창용 이코노미스트는 “양적완화(QE) 테이퍼링과 관련해 우리는 수출 위주기 때문에 그것에 대비해야 한다”며 “아베노믹스와 관련해 엔/원 환율도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도 재차 강조했다. 이 이코노미스트는 “일본도 버블이 끝난 후 의견이 분할되면서 의사결정 과정이 무너졌었는데 아베노믹스에서 긍정적인 것은 의견을 모아보자는 파워가 생긴 것”이라며 “다변화된 사회에서 의사갈등이 있는 것 허비하지 않게 상반된 견해를 주고받으면서 합의를 보고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민정 기자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