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4-01-20 16:43
[뉴스핌=강소영 기자]중국 서부 대개발 정책에 따른 국내외 전자업계의 중서부 진출이 늘면서 중국 전자산업의 중심축이 빠르게 내륙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는 중국 내륙 경제 활성화로 이어져 전자업계가 중서부 경제 성장의 일등공신으로 떠오르고 있다.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 등 중국 다수 언론은 최근 IT·전자업계의 중서부 진출에 힘입어 내륙 지역의 대외무역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최근 몇년 폭스콘·샤프 및 삼성전자 등 세계적인 전자업체와 중국 유명 IT·전자업계는 중서부 지역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해관(세관)에 따르면, 2013년 중국 수출입 총액에서 광둥(廣東)·장쑤(江蘇) 등 7개 동부연안의 비중은 감소한 반면 중서부 내륙 지역의 비중은 상승했다. 지난해 충칭(重慶)·허난(河南)·산시(陝西) 등 7개 중서부 지역의 수출입 증가율은 모두 15% 이상을 기록했다.
충칭에는 애플·휴렛 팩커드·소니·삼성 등 해외 전자제품 업체와 차이나 모바일·차이나 텔레콤·차이나 유니콤·하이얼(海爾)·샤오미커지(小米科技) 등 중국 IT·가전 대기업 등 100여 개의 전자제품 업체가 입주가 이어지고 있다. 그 결과 충칭시 산업구조에서 전자제품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었다.2013년 1~3분기 충칭시에서 생산돼 수출된 노트북 컴퓨터는 전년 동기 대비 33.6%가 늘어난 3293만대에 달했다. 수출금액은 131억 1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4.1%가 늘어 이 지역 전체 수출 총액의 40%에 달했다.이밖에 프린터·자동차·직접회로 등 상품생산의 증가에 따라 충칭지역에서 고도의 기술력을 요하는 첨단 전자제품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노트북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가공무역 규모 역시 빠르게 늘고있다. 지난해 충칭시 가공 무역 규모는 전년 대비 85.3%가 늘어난 215억 1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무역에서 가공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45.4%에 달했다.
유구한 역사가 무색할 정도로 경제가 낙후했던 허난성(河南省)도 최근 5년 빠른 경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0년 애플 휴대폰을 생산하는 폭스콘(Foxconn)이 허난성 정저우(鄭州)에 생산 공장을 세우면서 이 지역 경제가 활기를 띠게됐다.
지난해 폭스콘 정저우 생산공장을 통해 이뤄진 수출입 규모는 354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보다 20.7%가 늘었다. 폭스콘의 수출입 규모는 지난해 허난성 전체 수출입 규모의 59.2%에 해당한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