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4-01-28 11:12
[뉴스핌=최헌규 강소영 기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 통화위기와 금융불안이 세계 자본시장을 위축시키고 있다. 중국의 경우도 위안화 환율은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주식투자는 투자자들의 기피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자산 투자자들인 왕타이타이(王太太 왕부인 중국아줌마)의 투자 포지션, 특히 해외자산에 대한 투자 움직임이 주목을 끌고 있다. 왕타이타이들은 2013년 국제황금과 한국 제주도를 포함한 세계 주요 부동산 시장의 최대 큰손이었다. ◇대세를 역행하는 '묻지마 투자군단' 왕타이타이
리메이는 인터넷 자산관리 상품을 접하기 전 주로 선물과 은행자산관리 상품에 투자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수익률의 '단맛'에 이끌려 인터넷 자산관리 상품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리메이는 지난 2년 간 인터넷 자산관리 상품에 투자해 낮게는 11%, 높게는 18%의 높은 수익을 거뒀다.
그러나 리메이는 올해들어 인터넷 금융 상품 투자에 보다 신중을 기하고 있다. 지난 2013년 인터넷 금융 시장이 높은 수익률에 힘입어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면서 투자 위험성도 높아졌기 때문. 인터넷 금융회사와 상품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시중의 자금이 몰리면서 일부에서는 회사 도산설, 환매 위기설 등 인터넷 금융의 위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있다.
리메이는 "이른바 '중국 아줌마'군단(왕타이타이)은 전문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원금 보장성 상품을 선호하고, 자금도 전문 위탁기관이 관리하는 곳을 찾는다"고 밝혔다.
P2P 플랫폼을 통해 이뤄지는 인터넷 자산관리 상품 투자에서 40세 이상 부녀자의 투자비율은 1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아줌마 투자자'의 특징은 투자에 매우 과감하다는 것. 관련 자료에 따르면, '아줌마 투자자' 가운데 한번 투자액이 5만 위안(약 893만 원)을 넘어서는 투자자는 전체의 22%, 누적 투자액이 5만 위안 이상인 투자자 비율도 36%에 달한다.
중국의 한 P2P 인터넷 금융 회사의 대표는 "중국 아줌마들은 일단 투자를 시작하면 남성 투자자보다 훨씬 공격적이고 대담하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중국 아줌마들은 위험관리에 대한 인식이 보편적으로 낮다. 인터넷 금융 상품에서 위기가 발발하면 이들 아줌마 투자자가 대거 빠져나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돈 냄새'에 후각이 발달한 중국 아줌마 군단이 해외 부동산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호주 등 외국에 자녀를 유학보낸 중국 아줌마가 아파트를 구입해 임대료로 자녀의 학비와 체제비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높은 수익을 거두는 투자방식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호주 부동산 가격이 고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중국 부동산 투자자를 이끌고 있는 주된 요인이다. 부동산 시장이 체계적이고 투명한 호주로 세계 각지의 투자자가 몰리면서 호주 부동산은 매년 10% 이상 오르고 있다. 이때문에 자녀가 호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면 중국 '아줌마'들은 구매했던 아파트를 처분해 막대한 부동산 투자 차액을 거두고 있다.
최근에는 호주 서부 시드니 지역이 중국 아줌마 투자자의 새로운 '표적'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하이(佳海)국제부동산투자회사의 투자책임자는 "최근 호주 정부부문 청사가 서부 시드니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어, 이곳의 발전이 기대된다. 이때문에 서부 시드니 투자를 알아보는 중국 투자자가 크게 늘고있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