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5-02-05 16:23
[뉴스핌=한태희 기자] 정부가 '강남 재건축발 전세난'에 대해 우려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르면 설 연휴 이후 1만가구 규모 '재건축 전세 대이동'이 시작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주를 마친 단지가 있어 실제 이주자는 거의 없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반면 현장에서 체감하는 전세난은 심해지고 있다. 통상 비수기인 12월과 1월에도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일부 세입자는 서울에서 전셋집을 구하지 못해 수도권 외곽으로 밀려나고 있다.
지난 4일 국토교통부 고위 관계자는 "강남 재건축발 전세난이 심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관리처분계획 인가 과정에서 많은 가구가 이주를 마쳤고 실 거주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와 서울시는 올해 강남 4구(강남·강동·서초·송파구)에서 아파트 재건축으로 2만4000가구가 이주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는 관리처분계획 인가 신청 예상 단지로 추산했다. 관리처분계획 인가 다음 단계는 주민 이주와 철거다.
올 들어 강남권에서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은 단지는 가락시영과 개포주공 2단지다. 가락시영과 개포주공 2단지는 각각 6600가구, 1400가구 규모다. 이에 앞서 지난해 4분기 강동구 고덕 주공 2단지(2600가구)와 4단지(410가구)도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았다. 이주 물량만 이미 1만가구가 넘는다.
하지만 국토부는 우려가 없다는 입장이다. 올초 재건축에 돌입하는 단지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가락시영(6600가구)이 사실상 이주를 거의 마쳤기 때문이다. 최근 관리처분 인가가 난 가락시영은 현재 6600가구 중 24가구만 남아있다.
고덕 주공 4단지도 지난해 말부터 주민 이주를 시작했다.
국토부 고위 관계자는 "재건축 이주 수요는 (예상치인) 2만4000가구보다 적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