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8-01-08 15:20
운전자가 없이도 자동차가 스스로 핸들을 좌우로 돌리고 가속하고 멈추는 자율주행자동차가 곧 눈앞에 다가온다.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가전쇼 'CES 2018'에서 글로벌자동차 제조사들은 오는 2021년 무인자동차 상용화계획을 내놓았다. 소비자들이 5년정도면 자동차 매장에서 무인자동차를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뉴스핌은 성큼 다가온 자율주행차의 현재와 업계의 치열한 움직임을 소개한다. [편집자]
[뉴스핌=전민준 기자] 지난 11월 경기도 판교 제로시티에서 열린 ‘자율주행모터쇼’. 행사장 인근 약 5㎞ 국도 순환 구간에서 현대자동차와 KT, 국민대학교 등이 제작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그랜저HG를 탔다. 자율주행기술 수준은 미국 교통부 기준 레벨1~5단계까지 있고, 레벨3가 운전자가 개입해야 하는 부분자율주행이라면 레벨4부터는 운전자가 필요 없어 자율주행자동차를 상용화할 수 있는 최고 단계의 기술이다. 5단계는 완전 무인(無人)자동차로 영화에서나 나올법한 자동차로 현실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편도 2차선 도로는 어느덧 1차선으로 줄어들었다. 자율주행차는 기자가 인지하기도 전에 어느 새 방향지시 등을 켜면서 차선을 왼쪽으로 바꾸고 있었다. 차선 변경하는데 1차선에서 스포츠카 한 대가 전속력으로 질주하는 것을 인지하자 2차선으로 잠시 들어선 뒤, 1차선으로 다시 진입했다. 매우 인상적이었다. 1차선에 들어선 뒤 작동하지 않는 신호등, 불법 유턴 차량 등이 있었지만 차량 운행을 방해하진 않았다.
과속방지턱도 감속하면서 넘어갔다. 아쉬운 점이라면 과속방지턱을 좀 더 부드럽게 넘어갔으면 하는 취향의 차이 정도.
곧 이어 자율주행차는 장애물에 직면했다. 편도 1차로 도로를 레미콘 두 대가 막고 있었다. 피해가기 위해서는 중앙선을 넘어가야 했다. 여기서는 수동 운전이 필요했다. 안전을 위해 중앙선 침범 기능을 활성화 시킨 탓이다. 하지만 이 기능을 비활성화 하면 중앙선을 넘어 주행 할 수 있다고 한다.
목적지 진입 전 일부러 눈을 감고 조는 시늉을 했다. 그러자 속도를 서서히 줄이더니 시속 10㎞로 안내한다. 편안한 침실 같았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2021년 상용화 하는 자율주행 세단은 차량이 많은 도심 속에서 센서로 주변을 인지, 운전자 개입 없이 완벽히 주행하고 원하는 속도까지 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전민준 기자(minjun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