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8-03-18 12:00
[세종=뉴스핌 이고은 기자] 보건복지부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신속하게 찾아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하는 e아동행복지원시스템을 개통한다고 18일 밝혔다.
그간 은폐된 공간에서 의사표현이 어려운 아동을 대상으로 일어나는 속성상, 감시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는 아동이 사망하거나 중상해를 입은 후에야 알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복지부는 사회보장서비스 제공을 위해 축적된 각종 정보들을 활용해 보호가 필요한 가정을 선제적으로 예측·발굴하고, 해당 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양육 환경을 살필 예정이다.e아동행복지원시스템은 ▲장기결석 여부, ▲영유아 건강검진․예방접종 실시여부, ▲병원기록 등의 정보를 모아 일정 수준 이상의 요건을 충족하면 보호 필요 아동으로 추정해 각 읍면동으로 자동 통지하는 시스템이다.
정보를 받은 읍면동 공무원은 해당 아동의 가정에 직접 방문해 양육환경을 확인하고, 복지서비스가 필요할 경우 드림스타트 등 서비스 제공기관에, 아동학대가 의심되는 경우 경찰이나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연계한다.
[뉴스핌 Newspim] 이고은 기자 (go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