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8-11-21 11:01
[서울=뉴스핌] 유수진 기자 = "원가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기단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가 오면 B737-MAX 도입을 검토할 것입니다. MAX를 들여오면 노선 네트워크를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까지 확대할 수 있게 됩니다."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는 지난 3월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뛰어난 비용효율성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낮은 운임을 제공, 많은 이들에게 여행의 행복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같이 기단운영 계획을 밝혔다. 이후 8개월 만에 B737-MAX 50대 구입을 결정했다.
제주항공은 미국 보잉사의 B737-MAX8 50대에 대한 구매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40대는 확정구매, 나머지 10대는 옵션구매로, 오는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받아 운용할 계획이다. 이번에 확정구매로 계약한 항공기 40대에 투입되는 비용은 약 5조원(44억 달러)이다.
B737-MAX8은 현재 제주항공이 보유하고 있는 B737-800(189석)과 크기 및 좌석 수는 같지만 연료효율성을 높여 항속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연료효율이 기존 대비 14% 높아 운항거리가 최대 6500㎞에서 7500㎞로 1000㎞ 이상 늘어난다. 따라서 그동안 취항하지 못했던 싱가포르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인기 동남아 노선을 개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비용절감은 제주항공의 운임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신규 기재 직접 도입으로 단위운항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며 "이를 통해 경쟁사와의 운임경쟁력 격차를 확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이 대표의 "기단과 관련해 의사결정을 할 때 반드시 원가경쟁력을 고려할 것"이라던 발언과도 일맥상통한다. 앞서 그는 "단일기종 운용을 계속 지켜 그 과정에서 얻고 있는 비용효율성, 운영안정감을 계속 유지해 나가겠다"며 "고객에게 낮은 운임을 제공한다는 LCC 고유 모델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한편, 제주항공이 이번 대규모 구매계약을 통해 '기체 선순환 구조'를 형성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신규 기재를 일정 기간 이용한 뒤 이를 매각, 업그레이드 된 신규 기종을 다시 매입하는 방식으로 기단을 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대량이기 떄문에 공시가보다 할인된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다.
정 연구원은 "이를 통해 계속적으로 비용 절감 및 연료 효율성 개선이 가능하다"며 "절감한 비용을 운임에 반영해 경쟁사와의 운임 격차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이번 B737-MAX 도입계약을 통해 차세대 항공기로 자연스럽게 기단을 교체하고 원가 경쟁력도 유지하게 됐다"며 "대한민국 대표 국적항공사로 한 단계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uss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