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9-08-20 09:53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유엔이 북한 소행으로 추정되는 강제실종 납북자들에 대한 정보 제공을 북한에 요청했지만 제대로 된 정보 제공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 20일 제기됐다.
이날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유엔 '강제적 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은 지난 2월 세르비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와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각각 개최한 회의 결과를 담은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1980년 설립된 실무그룹은 피해자 가족이나 민간단체들로부터 실종 사건을 접수해 심사한 뒤, 이를 납치 의심 국가들에 통보한 뒤 명확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무그룹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한반도 동해와 서해에서 조업 중 북한에 끌려간 어부 17명 등 총 30명에 대한 정보 제공을 북한 정부에 요청했다.
실무그룹은 이들을 비롯해 1970년 6월 5일 서해에서 임무 수행 중 북한 경비정에 피랍된 한국 해군방송선의 도종무와 맹길수 등 승조원 2명과, 안찬수 기자 등 한국전쟁 당시 납북된 6명, 그리고 2016년 10월 1일 중국에서 북한으로 강제송환돼 수감 시설에 갇힌 최경학과 최성자, 1976년 9월25일 함경남도 문산군에서 보안요원들에게 납치된 박화영 씨 등에 대한 생사 확인과 소재 파악도 북한 정부에 요청했다.
하지만 북한은 실무그룹의 이 같은 요청에 제대로 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무그룹은 이번 보고서에서 "북한이 지난해 10월 18일과 지난 3월 27일에 각각 12건과 16건의 기존의 강제실종 사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지만, 사건을 명확히 파악하기에 불충분한 것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이어 "실무그룹은 북한 정부의 대응과 관련해 계속 실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의 대북인권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의 이영환 대표는 "북한이 한국전쟁 당시 뿐 아니라 정전협정 이후에도 계속 한국 국민들을 납치하고 있다"며 "하지만 북한이 실무그룹의 요청에 제대로 답변하지 않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아울러 "북한이 비협조적으로 나온 것이 이렇게 수 백 건이 누적돼 있는 상태"라며 "북한을 강제실종 문제, 납치 실종 이런 문제들로 굉장히 심각한 나라라고 공표를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통일부에 따르면 한국전쟁 중 북한에 납치된 전시 납북자는 약 10만명, 그리고 정전협정 체결 이후 북한에 납치된 3835명 가운데 지금까지 북한에 억류돼 있는 전후 납북자는 516명으로 추정된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