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9-10-02 09:08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최근 5년 새로 지어진 아파트 단지의 19%는 라돈 검출 수치가 높은 마감재로 시공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정의당 이정미 의원은 최근 5년 신축된 전국 아파트 1696개 단지 중 326개소(19%)에서 라돈 검출수치가 다른 자재보다 높다고 보여 지는 마감재가 시공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2일 밝혔다.
라돈 검출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아파트에서는 최근 건설사와 입대의간 라돈검출 갈등을 유발한 마감재와 라돈 검출 수치가 다른 자재보다 높다고 보여 지는 마감재가 시공된 것이 확인됐다.
특히, 최근 환경부의 '건축자재 라돈 관리방안' 연구용역시 일부 건축 마감재 방사능 농도가 기준치에 근접한 것이 확인되는 등 공동주택에서도 인위적인 방사능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연방사능 외 불필요하게 폭로될 필요가 없는 관리 가능한 생활방사능 기준을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작년 5월 대진침대 회수 등 행정조치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정미 의원은 "정부부처, 지자체, 보건환경연구원 합동으로 공동주택 전수조사 등을 통해 국민의 생활안전은 물론 정부차원의 라돈프리인증제도를 포함 한 다각적인 라돈관리체계가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