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9-12-31 15:05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현재 내각에 남은 현역 의원 국무위원 중 총선 출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받았던 유은혜 교육부 장관 겸 사회부총리가 출마 대신 내각에 남을 전망이다.
현역 국무위원 중 현역 의원 출신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유은혜 장관이지만, 김 장관은 출마보다는 국토교통부 장관직을 더 수행할 가능성이 더 높게 평가됐다. 정부가 연일 강도 높은 집값 안정 대책을 내놓은 상황에서 중요 이슈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 장관의 출마 가능성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청와대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이후 국무위원 후보자에 대한 인사 검증 기준을 보다 까다롭게 적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 장관의 후임자를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 때문이다.
청와대는 총선 출마하는 국무위원에 대해 "여당의 요청과 본인의 의지가 있으면 보내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 역시 "결국 유 장관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주무장관인 유 장관은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은 채 출마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크다. 관계자에 따르면 유 장관은 총선 출마만을 위해 중요한 시기에 장관직을 버리려 한다는 평가를 받고 싶어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여권 고위층에서도 유 장관이 불출마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가 총선용 개각의 조건으로 밝힌 여당이 유 장관을 강력히 원하는 상황이 나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민주당이 경기 고양 지역을 총선 쇄신의 거점으로 삼을 가능성도 있다. 유 장관이 총선 출마 대신 교육부 장관으로서 난제를 해결한 이후 경기도지사 등 광역단체장에 도전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아직 유 장관은 출마 고민을 마무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 장관이 모든 난관에도 불구하고 총선용 출마를 결심할 가능성도 아직 있다. 그러나 상황은 유 장관의 불출마를 향해 가고 있는 모습이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