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2-04 08:39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이 확산되고 있는 중국에서 '무접촉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고 4일 아사히신문이 전했다. 접촉을 통한 사람 간 감염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서다.
무접촉 서비스는 택배서비스와 학교 수업 등 민간은 물론 공공기관까지 다양한 현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KFC가 지난달 30일부터 중국에서 시작한 '무접촉 서비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기침 등 비말(飛沫·미세 물방울)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사람 간에 2미터 이내 접촉을 피하는 건 유효한 예방 수단이 된다.
스마트폰으로 주문·결제가 이뤄지는 배달음식은 사람과의 접촉이 최소화되긴 하지만, 아예 '무접촉 서비스'를 통해 감염 가능성을 차단하겠다는 시도로 보인다.
행정기관에서도 무접촉 움직임이 퍼지고 있다. 중국 외무성은 지난 3일부터 "기자들의 건강을 확보하겠다"며 정례 브리핑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다. 위챗(微信) 그룹채팅을 통해 질의응답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중국 최고인민검찰원(대검찰청)은 용의자 조사는 "가능한 한 대면하지 말고 진행하라"고 전국에 통보했다. 이에 따라 검찰관들은 전화나 영상통화, 서면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중국 공안성은 경미한 자동차 접촉 사고 등을 이미 인터넷으로 처리하고 있다. 사고 당사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각 촬영한 현장사진을 공안에 보내면 이후 판단 결과가 다시 전달되는 식이다.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