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3-13 12:52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하면서 급기야 팬데믹(세계 대유행)이 선언되는 상황에 까지 이르렀다. 팬데믹 선언 직후인 3월 12일 10개 국 이상의 증시에서 서킷브레이커스가 발동됐다. 주요국 증시 붕락은 물론 글로벌 경제가 집단적으로 패닉 상황으로 빠져드는 분위기다. 한국도 코로나19 추가 확산 우려가 팽배한 가운데 경제가 급격히 냉각하고 금융 위기 리스크도 한껏 고조되고 있다.
세계적인 감염 확산 추세와 달리 진원지인 중국의 경우 그렇게 기승을 부렸던 코로나19가 사실상 종식 단계에 접어들었다. 2019년 12월 31일 최초 발생 70여일 만이다. 12일 중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 발생은 8명에 그쳤다. 앞서 시진핑 국가주석은 발병 이후 처음 3월 10일 코로나 진원지 우한시를 방문했다. 중국이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음을 세계에 과시한 것이다. 실제 3월 12일 중국은 베이징에서 '코로나19 퇴치 성공 보고회'까지 열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재난은 2019년 12월 31일 중국 우한시가 27명의 원인 불명 폐렴환자(코로나19) 발생을 보고하면서 시작됐다. 1월 중순이 넘어가면서 경기가 위축되고 음력 설 대목은 완전히 실종됐다. 도시는 봉쇄되고 사람들은 아파트에 격리됐으며 거리는 전쟁으로 소개된 마을 처럼 변했다. 우한시는 물론 베이징도 상하이도 한순간에 유령도시로 돌변했다. 두달이 넘는 시간 동안 소비 생산 수출 등 모든 경제 활동이 올 스톱됐다.코로나19 전염병이 엄습한 70여 일간 중국에서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중국은 코로나19의 긴 악몽에서 어떻게 벗어났으며 '포스트 코로나19'에 대비해 어떤 출구 전략을 준비하고 있는지 뉴스핌이 직접 취재한 현장 화보를 통해 시간 순으로 되돌아 본다. 한국의 코로나19 재난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19'의 대응 전략에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1월 1일 경자년 새해가 밝았다. 이날 중국 당국은 코로나19 전염병의 발생지로 지목된 우한의 야생동물 거래소 화난(华南)해산물 시장을 폐쇄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코로나19는 여전히 원인 불명 폐렴 증상의 질병이었고 이에 대해 사람들은 대부분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로부터 23일 후 우한시에 대한 사상 초유의 도시 봉쇄 조치가 취해졌다.
2020년 1월 초, 해가 바뀌었지만 코로나19는 당시 별 뉴스가 아니었고 중국 전체적으로도 별다른 이슈가 없었다. 기자는 1월 8일 비행기를 타고 푸젠성 샤먼(厦门)으로 향했다. 1월 11일 치러지는 대만 총통선거 취재를 위한 출장 여정이었다. 타이베이로 가는 길을 우회해 먼저 취안저우시와 푸저우시에 이어 푸젠성의 세번째 경제 대도시인 샤먼을 돌아보고 대만 땅 금문도로 넘어가 금문 고량주 공장을 취재한 뒤 타이베이로 들어가는 스케줄이었다. 샤먼의 명소 구량위와 중산로에는 골목골목 거리 마다 관광객들이 넘쳐났고 금문도로 넘어가는 배편도 표를 예약하기 힘들 정도로 붐볐다. 샤먼 코트라(KOTRA) 무역관 정성화 관장을 비롯해 샤먼에서 만난 어느 누구도 코로나19의 우려를 입에 담지 않았다.
1월 11일 치러진 대만 총통 선거는 싱겁게 끝났다. 예상대로 현직 대통령으로 재임에 나선 민진당 차이잉원 후보가 압승을 거둔 것이다. 선거 결과는 홍콩사태로 시련을 겪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 또 한 차례 큰 충격을 안겨줬고 양안 관계 악화에 대한 불안의 그림자도 그만큼 짙어졌다.
대만 총통 선거 취재를 마치고 1월 12일 베이징으로 돌아오는 길에 보니 대만 당국은 벌써부터 전염병 예방에 선제적 대응을 하고 있었다. 당시만 해도 한국은 물론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에서 조차 코로나19에 대해 별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대만은 선거로 한참 바쁜 와중에도 이미 공항 등 다중 집합 장소에 '우한 폐렴(코로나19의 당시 명칭)' 주의 안내 문을 붙여놓는 등 혹시 모를 전염병 만연 예방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 <뉴스핌 2020 3월 3일 보도: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303001239>. 결국 대만은 경제 발달 국가 중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방어한 몇 안되는 나라중 하나가 됐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