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4-10 16:18
[서울=뉴스핌] 김사헌 기자 = 지난 8일 중국 베이징 기차역에는 우한에서 출발한 고속열차가 76일 만에 도착했다. 이번 주 우한 일대에서 승전보가 울려퍼졌다. 하지만 보건 과학자들은 전 세계에서 감염 확산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봉쇄를 풀고 있는 중국에 대해 경고를 보냈다.
같은 날 란셋(LANCET)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과학자들은 중국이 엄격한 봉쇄 조치로 코로나19의 첫 파도를 안정시키는 데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봉쇄를 조기에 해제할 경우 제2의 감염 파도가 들이닥칠 수 있다는 것을 수학적 모형으로 설명했다.
◆ 경제 활동과 감염재생산 1 이하 억제 균형, 선제적으로 맞춰라
우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통제 정책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지만, 효과적인 백신이 널리 보급되기 전까지는 경제활동의 재개와 바이러스 기초감염재생산수(R0)를 1 이하로 유지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선제적으로 맞추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9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집계 결과를 인용해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7일까지 8일 동안 885명의 신규 감염자가 나왔으며 그 중 68%인 601명은 기침, 발열 등 눈에 띄는 징후를 보이지 않는 무증상자 감염자였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전체 무증상 감염자 중 절반에 가까운 279명은 코로나19 발원지인 후베이(湖北)성에서 나온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당국은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도 증상이 없는 경우 확진자로 간주하지 않고 있다. 이에 전체 확진자 통계에서 무증상 감염자는 제외시켰으며 그 숫자도 공개하지 않다가, 지난 1일 처음으로 무증상 감염자 통계를 공개했다.
앞서 란셋 연구보고서의 공동저자인 가브리엘 렁 홍콩대학 교수는 "베이징이나 상하이처럼 가장 번창하고 왕성한 대도시에서도 의료 자원은 유한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의료 수요가 증가하면 고전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연구 결과 지역의료 시스템이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인력 및 자원을 보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한편, 9일 CNN뉴스는 중국 외에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너무 빨리 제한을 완화하는 것에 대해 경계하고 있다고 전했다. 싱가포르의 경우 지난 금요일 287명의 신규확진자가 발생하여 감염이 발생한 이래 일일 최대 확진자 증가세를 기록하자, 곧장 이번 주에 5월4일까지 모든 사적인 모임을 금지하고 명령을 위반할 경우 엄격한 처벌을 내릴 것이라고 발표했다. 홍콩의 경우도 완화 조치를 한 뒤 확진 사례가 증가하고 그 중 다수가 해외 유입이 되자 통제를 다시 연장했다.
herra7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