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4-14 16:23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두산중공업 회생 지원을 위해 산업은행을 중심으로 채권은행들이 기존 대출 연장과 함께 금리 인상 최소화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올해 만기도래하는 두산중공업의 은행 대출은 모두 2조3000억원에 달한다. 현재 두산중공업의 경영악화를 감안하면, 통상적으로 은행들은 대출 연장을 중단하거나 연장하더라도 금리를 큰 폭으로 올려야 한다. 지난해 두산중공업은 매출액(-9.6%)과 영업이익(-52.5%)이 크게 하락하면서 당기순손실 4952억원을 기록했고, 은행들의 신용평가 결과도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A은행 관계자는 "이자 내기도 힘들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정부와 금융당국이 두산중공업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상황에서 금리 역시 일정 부분 논의될 전망"이라며 "은행들의 개별 평가시스템에 의해 일정수준 인상은 불가피하더라도 정성적인 부분은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산중공업에 대한 금리 인상을 최소화할 경우, 은행들이 일정 부분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가 코로나 지원을 강조하면서 지원 명분도 생겼다. 두산중공업이 '코로나 피해기업'으로 판단되면서 우대금리 적용 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최대현 산업은행 부행장은 3월 말 두산중공업에 대한 1조원 추가대출을 발표하면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자금경색을 함께 고려했다. 채권안정펀드 등과 별개로 수출입은행과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6일 주요 금융지주 및 정책금융 회장들과 만나 금융권의 발빠른 유동성 확대 조치에 고마움을 표시하고, 금융기관에 대한 '면책'을 강조하기도 했다.
글로벌 금리인하 기조도 채권은행들의 대출금리 인상압력을 낮출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한국은행이 3월 기준금리를 0.75%로 인하했고, 이에 따라 대출금리 지표가 되는 CD금리와 은행채 금리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오는 27일 만기도래하는 두산중공업 외화공모채 약 6000억원을 대출로 전환해 줄 예정인데, 당장 기업 입장에서는 조달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전일(13일) 두산중공업은 채권단에 재무구조개선계획(자구안)을 전달했다. 두산중공업은 자료를 통해 "경영 정상화를 위해 매각 또는 유동화 가능한 모든 자산에 대해 검토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bjgchi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