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5-27 17:21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과거 밀양 송전탑 건설로 인해 '홍역'을 치른 한국전력공사가 또 다시 송전탑 건설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동해안~신가평 500㎸ 초고압직류송전(HVDC) 입지선정위원회에서 반대 입장을 가진 지역 주민을 배제한 채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와 강원도민들이 반발하고 나선 것.
27일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한전은 동해안~신가평 500㎸ HVDC 동부구간 입지선정 과정에서 송전선로 시작부인 봉화군 주민을 배제하고 위원회를 구성했다. 회의를 연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민들과 특별지원사업비 계약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또한 강원도 홍천과 횡성, 경기도 양평과 가평이 예정지인 서부구간 입지선정위원회는 강원도 주민은 배제하고 경기도 지역 주민만 참석한 채 강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환경운동연합은 성명서를 내고 "한전이 말하는 '객관성'이란 한전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는 주민들은 철저히 배제하고 찬성하는 주민들만으로 입지선정위원회를 운영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냐"며 "송전철탑의 입지를 결정하는 것은 당연히 어쩔수 없이 찬성하는 주민도 있고 극렬하게 반대하는 주민도 있는 법"이라고 지적했다.
그들은 또 산업통상자원부에 한전에 대한 감사와 업부 관련자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전에 대해서 즉각적인 감사와 더불어 관련자를 징계하여 국민을 우롱하는 행정을 철저히 반성해야 한다"며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입지선정위원회를 운영한다고 했던 한전의 입장은 산자부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한전의 독단적 사업추진이 산자부의 지시가 아니라면, 당연히 적법한 조치를 취하고, 주민들을 위한 위로의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한전은 지역별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주민들과의 의사소통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26일 6차 회의에 강원도와 횡성 반대위 위원장 2명이 참석해 입지선정위원회 운영 상의 문제와 주민과의 소통부족 등에 대해 지적했다"며 "다음 회의 개최 일정을 7월 10일로 잠정 결정하고 그때까지 지역별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주민들과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해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