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10-05 14:35
[서울=뉴스핌] 박서영 기자 = 운항 중인 항공기에 새가 부딪히거나 엔진으로 새가 빨려 들어가는 사고를 뜻하는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가 최근 5년간 총 1378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국토교통부와 공항공사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매년 200~300건 이상의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하고 있으며 공항 내 이착륙 과정에도 총 447건의 버드 스트라이크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드스트라이크는 항공기 운항에 가장 큰 위험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엔진 손상, 동체 파손 등 항공기 기체안전에 위협을 가하기 때문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 통계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한 196개국에서 연평균 약 1만4000건의 버드스트라이크사고가 발생했고, 연간 1조원의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 4월에도 승객 256명을 태우고 인천공항에서 베트남 호치민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KE683편 항공기가 버드스트라이크로 엔진문제가 발생해 인천으로 회항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하지만 버드스트라이크를 근본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다는 게 의원실 측 지적이다.
특히 인천지역은 과거 철새도래지였던 곳으로 인천공항 건설 당시부터 관련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매년 겨울철만 되면 공항주변에 약 6000마리의 기러기가 서식하고 있어 위험성이 높다.
인천공항을 비롯한 국내공항들은 이륙 시 고도 500ft 이내, 착륙 시 고도 200ft 이내에서 산탄총과 폭음기, 음파퇴치기 등으로 조류를 쫓아내고 있다.
김병욱 의원은 "매년 버드스트라이크가 끊이질 않아 비행안전과 국민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항공기 안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고도가 높은 곳에서 일어나는 버드스트라이크는 막을 수 없지만 공항 내 447건은 그나마 예방할 수 있다며 인력과 장비를 보강해서 버드 스트라이크사고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se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