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11-07 17:06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김래원, 이종석 주연의 영화 '데시벨'이 조금은 생소한 소음 폭탄 테러를 소재로 삼아 숨겨져있던 과거의 아픈 진실을 들여다본다.
7일 영화 '데시벨'이 언론배급시사를 통해 공개됐다. 1년 전 잠수함 사고의 트라우마를 안은 해군 부함장이 의문의 테러 타깃이 되고 미궁에 빠진 테러범의 정체를 찾아나서는 이 영화는 손에 땀을 쥐게하는 긴장감을 주는 동시에 배우들의 열연을 통해 먹먹한 감정까지 건드린다.
전 해군 부함장 강도영(김래원)은 과거 잠수함 사고에 대한 마지막 브리핑을 끝내고 나오는 자리에서 의문의 테러범의 전화를 받는다. 소음이 커지는 순간 폭발하는 특수 폭탄으로 도심을 점거하려는 폭탄 설계자는 그의 가족부터, 가까웠던 전우를 폭탄으로 위협한다. 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커졌을 때 폭발이 가까워지는 폭탄의 위협 속에서 도영은 사람들을 살려내려 고군분투한다.
김래원은 해군 부함장 시절 격의없고 소탈한 행동과 말투로 인간적인 면을 가득 드러낸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유실어뢰의 공격으로 잠수함이 위험에 처하고 리더로서 결단을 내려하는 최악의 상황에 처한다. 사건 1년 후, 테러범의 전화를 받은 그의 표정은 간절하고 다급해보이면서도, 어딘가 찜찜한 구석이 있는듯 의구심을 남긴다.
◆ 플래시백 활용한 점층적 구성…'제복액션' 효과는 아쉬움
극 초반 강도영 부함장을 필두로 한 한라함 구성원들의 단란한 한 때나, 갑작스레 1년이 지난 뒤 테러범의 전화가 걸려오는 대목부터 영화는 한꺼풀씩 이야기의 실체를 벗겨낸다. 동시에 테러 설계자의 정체, 한라함 사고의 진실에도 조금씩 가까이 다가간다. 초반에 궁금증과 긴장감을 극도로 끌어올린 뒤 점층적으로 이야기가 확장되는 방식이다. 마지막 태성(이종석)과 도영의 대면신과 플래시백 장면에선 이같은 연출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도영이 내내 입고 달리고 구르는 해군 제복은 군이라는 조직의 특수성과 비극성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로 쓰인 듯하다. 다만 보기에는 그럴싸해도 현실성을 감안할 땐 작품의 초점을 비껴난듯 보인다. 불가피한 선택을 해야 했던 최악의 상황을 겪은 해군들의 아픔, 윗선의 무책임한 태도 등을 강조한 설정은 우리 나라에 반복됐던 참사와 희생자들을 위로하는 듯하며 여운을 남긴다. 12세 이상 관람가, 오는 16일 개봉.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