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04-22 07:41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최재원 SK온 수석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나섰다. 경쟁사 LG에너지솔루션이 삼성전자 다음으로 시가총액 2위에 오르는 등 배터리 업계가 역대급 호황을 맞이한 가운데 SK온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동생이자, 그룹 내 2인자인 최 수석 부회장은 지난 5일 처음으로 타운홀 미팅 갖고 구성원과 소통하는 등 국내에서도 공식적인 대외 행보를 시작했다.
앞서 최 수석 부회장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IT전시회 'CES 2023'에 참가한 데 이어 미국 테네시주에서 열린 포드와의 합작사 '블루오벌 SK' 기공식에도 발걸음을 하는 등 해외에서 주로 모습을 보였다.최 수석 부회장은 공학도다. 그는 미국 브라운대학교를 졸업한 뒤 스탠퍼드대학교 대학원에서 재료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외에도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최 수석 부회장은 2009년 SK텔레콤 이사회 의장을 맡으며 경영 일선에 나섰다. 이후 SK텔레콤 전략지원부문장, SK E&S 대표이사 부회장, SK그룹 글로벌위원회 위원장, SK텔레콤 이사회 의장 및 SK 대표이사 부회장, SK네트웍스 이사회 의장 등을 지냈다.
최 수석 부회장은 SK이노베이션에서 분할 전 부터 전기차 배터리사업의 초기 단계부터 배터리 사업에 관여했다. 최 수석부회장은 지난 5년의 취업 제한 기간에도 SK㈜·SK E&S의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면서 배터리 사업 분야에 물밑 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취업 제한 중에도 충남 서산, 중국 창저우, 헝가리 코마롬, 미국 조지아 등의 배터리 생산 공장 기공식, SK배터리가 탑재된 국내 최초 고속 전기차 '블루온' 시승식 등 중요 행사에 참여하는 등 배터리 사업에 관심과 애정을 보였다.
SK그룹의 주요 미래 사업인 배터리 제조사를 이는 최 수석 부회장의 난제 중 하나는 '흑자 전환' 여부다. SK온은 창사 이래로 한 번도 혹자를 내지 못하고 있다.
SK온은 지난해 1조72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3000억원 가까운 적자를 낼 것이란 전망이다. 국내 배터리 경쟁사인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1조2137억원, 삼성SDI가 1조808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SK온의 기업공개(IPO)는 시기도 최 수석 부회장에겐 숙제다. 물적분할 이후 수차례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가 연기된 바 있다. 지난해 프리 IPO에서 SK온이 인정받은 가치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당시 인정받은 SK온의 기업가치는 22조원 수준이다. 당초 회사 측은 기업가치를 35조~40조원을 예상해 3조원 이상 자금을 조달하려 했지만 흥행에 실패했다.
타운홀 미팅에서 최 수석 부회장은 "통상 제조업은 초기 4~5년은 적자를 보다가 이후 빠른 속도록 빛을 본다"며 "우리도 독립법인 초기라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이를 잘 극복하면 내년부터는 성과가 가시화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