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안동시가 대대적인 조직개편에 나선다.
이번 안동시의 조직개편은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 특별법(특별법)' 국회 통과에 맞춰 지방시대를 선도하고, 미래농업과 관광객 1000만 시대를 열 민선 8기 권기창 시장의 시정 철학과 미래비전을 실현키 위한 기틀마련으로 풀이된다.
앞서 안동시와 안동시의회는 지난 9개월 동안 조직진단, 연구용역 등을 통해 조직개편안을 마련했다.
안동시의회는 지난 25일, 제241회 임시회를 통해 조직개편안을 반영한 '행정기구설치 조례와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를 의결했다.
![]() |
경북 안동시청사 전경[사진=뉴스핌DB] |
26일 안동시에 따르면 이번 조직개편의 주요 내용은 △인구정책 부서 신설 △관광분야 개편 △종합허가과 신설 △맑은물사업본부 설치 △농정부서와 농업기술센터 통합 등이다.
지방시대를 선도하고 지방소멸 대응위해 신설되는 인구정책 부서는 귀농·귀촌, 은퇴자 유치, 생활인구 확대,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인구정책을 발굴하고 지역 불균형 해소와 지방소멸 대응을 맡게된다.
또 1000만 관광도시로 도약위한 관광 분야가 대폭 개편된다.
3대문화권사업 완료에 따라 △유교문화권사업과를 관광인프라과 △관광진흥과를 관광정책과로 개편해 관광 관련 정책과 사업 전문성을 강화하고 세분화해 관광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모두 업그레이드한다는 계획이다.
시민 편익 중심 'ONE-STOP 서비스'를 위해 종합허가과를 신설한다.
인허가 공무원 간 유기적인 협의를 통해 민원 1회 방문으로 관련 업무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어 민원 만족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인구 대비 급수구역이 넓고, 시민과 인근 시군에 깨끗하고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지난 3월 16일 경북도로부터 승인받은 맑은물사업본부(4급)를 설치한다.
상수도, 하수도 등 다원화된 물관리 기능과 조직의 통합 운영을 통해 물관리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안동시 승격 60년 만에 처음으로 농정부서와 농업기술센터를 통합한다.
각 부서의 고유기능은 특화·육성하되 기획, 연구, 지도, 생산, 유통 등 행정조직 체계화로 논스톱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예산의 중복 투자 방지로 미래농업 육성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번 조직개편은 정원 증원 없이 이뤄졌다는 점이다.
다만 경북도의 승인을 받은 맑은물사업본부 설치를 위해 본부장(4급) 1명, 5급 3명이 직급 조정됐다.
인사적체가 다소 해소되면서 향후 인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조직개편의 핵심은 '인구', '농업', '관광', '물'이다"며 "시민 편익 최우선을 위해 농업과 민원행정을 일원화하고 안동의 먹거리인 관광과 수자원 관련 기구·인력을 재정비해 미래지향적이고 생산성 높은 조직이 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권 시장은 또 "조직개편에 좋은 의견과 함께 협조해 준 안동시의회에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