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12-26 11:00
[서울=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국토교통부는 물류신사업의 도약을 위해 제4차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2023~2027년)을 수립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종합계획은 2027년까지 물류산업 매출액 200조원, 일자리 90만개, 부가가치 비중 46%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6대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또 생활물류 급증에 대응하고 빠른 배송서비스 제공을 지원하기 위해 주문배송시설을 200개 이상 확충하고 내륙물류기지의 재정비 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미래 교통수단과 연계한 물류시설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등 7대 핵심과제도 포함했다.주요 추진 전략 및 과제를 살펴보면 우선 생활밀착형 도시 물류 인프라가 확충된다. 주거지역으로 생필품을 즉시 배송하기 위한 주문배송시설(MFC)을 도심곳곳에 배치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한다.
주문배송시설(MFC)은 주문 수요를 예측해 소형‧경량 위주의 화물을 미리 보관하고 소비자의 주문에 대응하여 즉시 배송하기 위한 물류창고을 말한다. 이들 시설은 고가하부, 휴게소, 차량기지 등 도로・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해 생활물류시설 설치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노후화된 기존 물류시설을 재정비 또는 개선한다. 운영기간이 각각 2026년과 2028년에 만료되는 의왕ICD(Inland Container Depot, 내륙컨테이너기지)·군포IFT IFT(Integrated Freight Terminal 복합물류터미널)의 기능 강화 및 운영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그 외 내륙물류기지 활성화 방안과 현실화된 물동량을 반영한 개발・운영방안도 마련한다.
낙후된 물류시설을 개선해 주변시설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도시첨단물류단지 개발 사업 활성화를 위해 사업 구조를 개편하고 사업자 부담을 완화한다. 또 기존 노후화된 일반물류터미널・여객터미널 등을 활용해 도심 물류시설을 복합화‧고도화해주민친화시설로 재정비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지역 간 격차 없는 물류서비스 기반도 제공한다. 정부지원을 바탕으로 소외지역 공동물류거점을 확대 설치하기로 했다. 도서산간 지역의 경우 경로당, 주민센터, 터미널 등 공공시설을 공동물류거점으로 활용해 지역 일자리 창출도 도모한다 계획이다.
물류시설을 스마트화한다. 도심 내 물류센터 확보가 어려운 중소‧영세 물류기업이 공동 이용할 수 있는 공유형 물류센터를 건립할 예정이다. 이들 시설에 생활물류 배송 전 과정을 친환경화‧첨단화하고 자율주행・도심항공교통(UAM)・드론 등 신교통 수단과 연계한 물류인프라 제공 방안도 검토한다.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물류체계를 구축한다. 집적물류시설 등에 화물차용 수소・전기 충전소 구축을 확대하고철도 수송분담률 제고를 위해 장대화물열차・피기백 등 신기술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실시간 위험물질운송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화물차 휴게시설 확충 종합계획 수립 등 물류산업 종사자의 안전한 근로여건도 마련하기로 했다.
국제물류허브 기반도 조성한다. 공항・항만의 화물처리 시설을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개선하고 인천공항의 물동량 처리를 위해 제3물류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공항・항만 등 물류인프라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물류와 제조활동을 촉진하도록 국제물류거점 인근 복합 개발 추진도 검토한다.
제4차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 전문은 오는 27일부터 국토교통부 누리집 뉴스․소식의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윤상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4차 산업 혁명에 대응해 미래 역량을 확충하는 한편 지역 간 격차 없는 보편적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면서 "공항만을 국제 물류 허브로 육성하는 등 물류 산업 전반에 걸친 혁신이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dbman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