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10-29 14:27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러시아에 파병한 병력을 대상으로 100여개의 러시아 군사용어를 현지에서 교육하고 있으며 일부 책임자급 장성이 전선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국정원이 29일 밝혔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파견된 북한군 병력이 실제 전투 현장에 투입되는 시점이 임박했으며 이를 위해 사전 교육과 훈련을 벌이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국정원은 이날 서울 내곡동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오전 회의에서 북한 동향 보고를 통해 밝혔다고 정보위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했다.양당 간사의 언론 브리핑에 따르면, 국정원은 보고에서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규모가 현재까지 모두 1만900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현재까지 3000명 정도가 전선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정확한 인원과 상황 등은 우크라이나 측과 공조해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군 파병과 관련한 북한 내부의 동요 움직임도 국정원은 정보위에 보고했다.
조태용 국정원장은 '북한군이 투항하거나 포로 심문에서 한국행을 원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이냐'는 정보위원들의 질의에 "당사자가 원한다면 모두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검토 중"이라고 답한 것으로 박선원 간사는 전했다.
양당 간사에 따르면 국정원은 보고에서 "북한이 지난 5월 실패한 군사정찰위성 재발사를 위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미 대선 이후에는 7차 핵실험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또 "김정은의 올해 공개활동이 110차례로 지난해 대비 60% 증가했다"면서 암살 등을 의식해 통신 재밍(전파방해) 차량을 운용하고 드론감시 장비를 도입한 것으로 전했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