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12-09 20:59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9일(현지 시각) 뉴욕 증시 개장 전 주가지수 선물 가격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다음 주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물가 지표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주 미 증시가 혼조세로 장을 마쳤으나 주요 지수가 사상 최고치 근방에 머물며 밸류에이션 부담도 커졌다.
미국 동부 시각 오전 6시 50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E-미니 S&P500 선물은 전장보다 7.50포인트(0.12%) 내린 6091.50, E-미니 나스닥100 선물은 52.00포인트(0.24%) 빠진 2만1604.75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E-미니 다우 선물은 30.00포인트(0.07%) 상승한 4만4736.00을 가리키고 있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11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가 예상보다 강력했으나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희석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확인되며 미 경제의 연착륙 기대가 커졌고, 증시는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2월 18일(현지 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확률을 87.1%로 보고 있다.
세계적인 투자 전략가 제레미 시겔 와튼 스쿨 교수는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것은 연준이 원하는 대로 돌아가고 있다"면서 "오는 18일 FOMC 회의에서 금리가 한 차례 인하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 내년에 금리는 두세 번 정도만 인하될 것이라고 본다. 이번 경제 강세는 지속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다우존스 사전 조사에서 전문가들은 11월 CPI가 전년 대비 2.7%, 전월 대비로는 0.3%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10월에는 전년 대비 2.6%, 전월 대비 0.2% 각각 상승한 바 있다.
만일 예상치를 웃도는 수준의 물가 상승세가 나타난다면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둔화 우려가 제기되며 미 증시를 둘러싼 투자 심리가 냉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번 주 유럽중앙은행(ECB)과 캐나다중앙은행(BOE) 등의 통화 정책 회의도 이번 주 예정돼 있다. 유로존 경기가 둔화세를 보이고 있어 금리 인하가 확실시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금리를 한꺼번에 0.5%포인트 내리는 '빅 컷'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이날은 미국의 10월 도매재고가 발표될 예정이며, 11월 CPI는 이틀 뒤인 11일, 이어 12일에는 11월 PPI가 공개된다.
한편 이날 중국의 경기 회복 방안으로 홍콩 항셍지수가 막판 2.76% 반등하고 유럽 시장은 상승 출발에서 혼조세로 전환했다. 이날 홍콩 증시의 반등은 오는 11~12일 열릴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통화 완화 정책을 포함한 추가 경기 부양책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의 닛케이도 0.18% 상승 마감한 반면, 탄핵 불발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한국 증시는 2.7% 하락 마감했다.
개장 전 특징 주로는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워크데이(종목명:WDAY)와 투자운용사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의 주가가 개장 전 각각 10%, 6% 상승하고 있다. 이들 기업이 S&P500에 편입될 것이라는 발표가 호재로 작용했다.
글로벌 광고 업계 3위 ▲옴니콤(OMC)이 4위인 ▲인터퍼블릭 그룹(IPG) 인수를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에 인터퍼블릭 그룹의 주가는 13% 급등하고 있는 반면, 옴니콤의 주가는 4% 넘게 하락 중이다.
중국 정부의 재정 부양책 기대 속 미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의 주가도 일제히 오름세다. ▲알리바바(BABA)는 6.5% ▲PDD 홀딩스(PDD)는 10.7% ▲바이두(BIDU)는 5.7% 각각 오르고 있다.
대부분의 대형주와 성장주가 약보합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테슬라(TSLA.O)는 주각 2% 가까이 상승하고 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