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12-23 13:31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전국 243개 지역 대상으로 지방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우수한 성과를 거둔 지자체로 인천시와 충청북도, 전남 광양시 등 26곳이 선정됐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24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방물가 안정관리 평가'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광역자치단체 중 가등급을 받은 인천시는 착한 가격 업소에서 지역사랑상품권으로 결제하면 결제금액의 12%를 환급(캐시백)해주는 등 개인 서비스 요금 안정을 위한 노력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서울 중랑구는 매년 1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서울장미축제의 바가지 요금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판매 가격을 축제 누리집에 게시하는 등 바가지 요금 근절을 위해 힘을 쏟았다.
이번 평가는 지난해 대비 상·하수도료, 대중교통 요금 등 서민 체감 물가와 밀접한 공공요금 안정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에 중점을 뒀다.
물가·서민 생활 안정을 통한 민생경제 회복이라는 정부 기조에 따라 243개 지자체는 소관 지방공공요금 총 605건 중 466건(77.0%)을 동결하고 24건의 공공요금 인상 시기는 분산·이연했다.
착한 가격 업소 물품 지원 사업에는 모든 지자체가 예산을 편성해 쓰레기봉투 등 업종별 맞춤형 지원을 실시했고, 업소 지정 확대 및 배달료 지원 사업 등에도 동참해 개인 서비스 요금 물가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아울러 명절·지역축제·휴가철에 지자체별 '물가 점검반'과 '물가 모니터단'을 운영해 현장 점검을 실시하고, 지역 내 생필품 물가 정보를 조사해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 바가지 요금 근절을 위해 노력도 있었다.
한순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물가 안정을 위해 지방공공요금 동결, 착한 가격 업소 지정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온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을 비중 있게 평가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