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2-04 13:10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전날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지시로 민간인 신분인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게 비화폰이 지급됐다는 의혹이 4일 제기됐다.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위원인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이날 국정조사 2차 청문회에서 김대경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에게 김 차장의 요청으로 노 전 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지급한 사실이 있는지 추궁했다.
윤 의원은 "이번 내란 사태에서 비화폰은 핵심 통신수단으로 악용됐다. 민간인에게도 지급되고, 일종의 '비화폰 공화국'을 만들었다"며 "여러 루트로 확인한 결과, 경호처에서 노 전 사령관에게 직접 비화폰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김 본부장에게 여러 차례 사실관계를 물었지만 김 본부장은 작은 목소리로 "죄송하다"며 말끝을 흐리거나, '정확히 기억이 안 난다'는 취지로 발언하며 답변을 회피했다.
김 본부장이 계속해서 즉답하지 않자 윤 의원은 "김 차장의 김○○ 비서관이 와서 비화폰을 가져갔지 않았나. 김 본부장은 비화폰 업무를 총괄하는 사람인데, 모를 리 없다"며 구체적으로 질문을 이어갔다.
그러면서 "민간인 노상원에게 비화폰을 준 게 사리에 맞나"라며 "전화번호 전부를 다 공개할까요"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김 본부장은 난처한 표정을 지었다.
윤 의원은 "김성훈 차장이 내란의 비선 설계자인 노상원에게 비화폰을 바쳤다는 것은 김성훈 차장이 사전에 비상계엄을 알고 함께 공모했다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그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외에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도 비화폰을 지급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자료화면으로 비화폰 불출대장을 제시하며 "'테스트 특'은 특수전사령관한테 비화폰을 줬다는 것이고 '테스트 수'는 수방사령관한테 줬다는 것이다. '테스트 예'가 바로 노상원 씨한테 간 비화폰이다. 예비역이라고 해서 예자를 썼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2월13일 김성훈 경호처장이 본부장한테 지시를 한다. 자신이 내란의 관련인인 것을 두려워서 관련 기록을 삭제할 것을 요구한다. 그 요구 받은 적 있나"라며 "본부장님과 실무자들이 버텨서 기록을 삭제하지 않았다고 들었다. 용감한 행동"이라고 치켜세우기도 했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