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3-21 09:37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대전시는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전협의제'를 이달부터 본격 시행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기존의 사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기획 단계부터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공공디자이너의 체계적인 자문을 제공해 실질적인 개선과 혁신을 이루어내겠다는 목표이다.
기존 공공디자인 사업은 거의 마무리된 후 관련 법령 및 조례에 따라 심의를 받는 구조여서 실질적인 개선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번 제도 시행에 따라 시민 생활과 밀접한 교량, 야간경관, 조형물 등 주요 공공 시설물은 디자인 공모 방식을 통해 우수한 디자인을 선정하고, 그 외 시설물은 공공디자이너와 1대 1 매칭해 기획 단계부터 준공까지 지속적인 자문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대전시는 이를 통해 사업 초기부터 디자인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보다 체계적인 디자인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디자인 사전협의제는 기본구상 단계부터 자료수집, 사업계획 수립, 예산편성, 디자인 및 기본설계, 실시설계, 착공에서 준공 과정까지 전 단계에서 공공디자이너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시는 이번 제도 시행을 통해 도시의 공공디자인 수준을 한층 높여 도시 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