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4-05 12:27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장관 직무대행)은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북·경남·울산 산불 대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4차 회의를 주재하며 피해 주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강조했다.
고 본부장은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은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주택사업까지 연계해 추진하겠다"며 "주요 농작물 복구 단가 현실화, 농기계 지원 기종 확대 등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설 피해 현황은 총 7659곳으로, 전날 오후(7544곳)보다 115곳 증가했다. 대피 중인 주민 수는 1972세대 3274명에 달하며, 정부는 이재민에게 응급구호세트, 모포, 쉘터, 생필품과 식음료 등 98만 4000여 점을 지원하고 7944건의 심리 지원을 실시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7459곳으로 가장 많았고 울산(114곳), 경남(84곳), 전북 무주(2곳)순이다. 불에 탄 국가유산은 34곳이다. 대피 중인 주민들은 1972세대 3274명이다.
한편, 산림청은 산불 피해 지역의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산불 피해지 긴급 진단 팀'을 파견해 우려 지역을 점검했다. 위험도 평가에 따라 응급 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6월까지 복구 완료를 목표로 하며, 항구 복구도 순차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해 임도의 타당성 평가 항목에 '재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추가해 설계 단계에서 재해 예방 기능을 반영하도록 했다.
고 본부장은 "지방자치단체는 예찰과 홍보, 단속을 강화하여 위험 요소를 차단하는 산불 예방에 힘써 달라"며 "정부는 복구 과정에서 주민 불편이 없도록 세심히 살펴 피해 주민이 조속히 삶의 터전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