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은빈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 자체를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 시점에서는 지정 가능성이 낮기는 하지만 지정됐을 경우엔 미국과의 양자협의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해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환율정책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수요, 공급, 그 다음에 기초 경제여건을 반영해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기존의 입장을 일관되게 밝혔다.
이주열 총재는 23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 오찬간담회에서 “현행법의 테투리로 보면 우리나라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라면서도 “지정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이번 주요 20개국(G20) 회의에서 미국 측이 환율 정책의 투명성을 강조하는 부분이 눈에 띄었다”며 “미국 정부의 입장을 감안해 보면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하더라도, 배제할 수 없구나 하는 걱정도 했다”고 말했다.
환율조작국 지정에 대한 대비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지정이 된다면 양자협의가 이뤄질 것이고 협의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해지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한 우려도 표했다. 이번 G20회의 공동선언문에는 ‘모든 형태의 보호무역주의를 배격한다’라는 문장이 삭제되고 대신 ‘세계 경제에 대한 무역의 기여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표현으로 바뀌었다.
이 총재는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한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하다”며 “내수가 부진해 수출이 성장을 이끌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보호무역조치가 앞으로 좀 더 확대될 경우 우리 경제에 회복세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원화의 일중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한국의 경제나 외환부문이 취약해서 그런 것이 아니다”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된 면과 국내 외환시장의 개방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앞으로도 대외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금융, 그리고 외환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여건 변화와 그에 따른 원화의 움직임을 주의깊게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뉴스핌Newspim] 김은빈 기자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