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향해 ‘화염과 분노’에 직면할 것이라고 겁박하자 북측은 괌을 공격하겠다며 강경 대응했다.
북한은 왜 면적이 210스퀘어마일에 불과한 태평양의 작은 섬을 타깃으로 지목했을까.
미국의 자치령인 괌은 전세계 관광객들 사이에 유명 휴양지로 꼽히는 곳이지만 미국의 전략적 군사 허브이기도 하다.
미국 군사 작전의 요충지인 동시에 북한의 중, 장거리 미사일이 도달할 수 있는 사정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괌은 미국을 위협하기에 제격인 셈이다.
9일(현지시각)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괌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지역이 미군에 의해 통제되고 있고, 주둔하는 미군이 6000명에 이른다.
북동쪽에 위치한 앤더슨 공군 기지와 남서부의 미 해군 기지, 해공 연합 기지 등 총 3개의 군사 거점이 포진한 괌은 미국이 동북아 전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중추에 해당한다.
지난 7일 한국 및 일본 전투기와 합동 훈련을 펼친 미군 B-1B 전투기도 괌에서 동원된 것이었고, 지난달 북한이 두 차례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이후 한반도 영공에서 비행 훈련을 가졌던 미 전투기 역시 괌의 군사 기지에 배치됐던 것이었다.
차모르족이 약 40%를 차지하는 괌 거주민들은 미군 주둔이 달갑지 않지만 이는 관광산업에 이어 두 번째 경제 동력이라는 점에서 저항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다.
미국이 괌을 전략적 군사 기지로 택한 것은 지리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태평양 서부에 위치한 괌은 인구 규모가 큰 국가로부터 커다란 거리를 두고 있다.
가장 가깝게 위치한 곳이 미크로네시아연방공화국으로 570마일 떨어져 있고, 파푸아뉴기니와 필리핀과의 거리도 각각 1400마일과 1600마일에 이른다. 또 미사일 폭격을 가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북한에서 괌까지의 거리는 2200마일이다.
괌이 군사적 타깃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실상 괌의 근현대사는 세계 전쟁사와 깊게 얽혀 있다.
지난 1565년 스페인의 차지가 됐던 괌은 미국과 스페인이 전쟁을 벌였던 1898년 미국령으로 편입됐다.
이후 괌은 세계 2차 대전 당시 약 2년6개월 동안 일본에 점령됐고, 1950년 다시 미국 자치령으로 이름을 바꿨다.
한편 괌의 30%에 이르는 영토가 미군에 의해 통제되고 있지만 미국은 일본 오키나와에 소재한 수천명의 해군을 괌으로 이전시키는 등 군사적 저변을 더욱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지속하고 있다.
미국은 동북아 지역 군사 요충지에 해당하는 괌의 방어를 위해 한반도에 배치한 것과 같은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제)를 두고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