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2017] 리콜 명령에도 '나몰라' 운행중인 수입차

newspim |

[뉴스핌=백현지 기자] 결함에 따라 리콜명령을 받은 수입차 10대 중 3대는 안전조치없이 운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국토교통원회 소속 김재원(자유한국당·경북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산차의 리콜 시정률은 74.1%지만 수입차 시정률은 69.2%로 집계됐다.

이처럼 국산차 대비 수입차의 시정률이 떨어지는 이유는 수입차는 법인차량이나 장기렌트차량이 많아 소유주 파악이 어렵다. 또 서비스센터가 많지 않아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이다.

지난해 포드 MKX는 연료탱크 부식으로 인한 연료누출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2월과 6월에 걸쳐 리콜이 시리됐다. 하지만 시정률은 각각 35%, 49%로 집계됐다.

BMW는 730d를 포함한 대부분 차종이 시동이 꺼질 우려가 있어 리콜을 시행했다. 하지만 시정률은 50% 미만이다.

리콜조치는 자동차제작사가 1년 6개월간 진행하고 시정조치가 완료될 때까지 매 분기마다 진행상황을 국토교통부에 보고토록 돼 있다.

시정률이 저조한 경우 재통지 요청을 할 수 있지만 소유주 파악이 어려운 수입차는 실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교통안전공단의 설명이다.

김재원 의원은 "시정되지 않은 리콜 차량은 도로 위를 달리는 위험물과 같다"며 "과거의 리콜 시스템을 고집하는 안일한 시각을 버리고 현시스템의 허점을 보완할 보다 강도 높은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newspim photo
<자료=김재원 의원실>

 

[뉴스핌 Newspim] 백현지 기자 (kyunji@newspim.com)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