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 경신 뉴욕 주가도 수익률곡선 평탄화에 한몫"

newspim |
장기국채와 주가지수 간 상관관계 거의 1 도달
연기금 등 연말 주식 이익시현 후 채권으로 이동

[뉴스핌=이영기 기자] 채권투자 전략가들이 최근 벌어지고 있는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 평탄화의 또 다른 주범을 찾아내 주목된다. 바로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미국 증시다.

연기금 등 기관들이 주식 부문에서 이익을 실현하고 30년 장기국채 매입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는 것이 장기 금리 하락요인이 되기 때문이란 얘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세계 최대인 미국 채권시장을 몇주간이나 지배하던 미 국채 장단기 수익률 갭이 이번 주에 결국 10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

전날 미 국채 30년물과 2년물의 수익률갭은 98.8bp(1bp=0.01% point)로 내려가면서 2007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1% 이하로 미끄러졌다. 10년만이다. 국채 10년물과 2년물간의 갭도 마찬가지로 10년간 최저수준인 58bp까지 떨어졌다.

채권투자 전략가들은 한 목소리로 채권투자자들이 보다 더 긴 만기물(듀레이션)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투자자들이 향후 경기전망을 어둡게 보는데도 불구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추가금리 인상을 예고해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단기수익률은 금리인상과 함께 올라가지만, 투자자들이 장기물을 사들이면서 장기채 수익률이 내려가는 것이다.

그런데 미 국채 수익률곡선 평탄화에 또 다른 주범이 발각됐다. 최근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증시가 바로 그것. S&P500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연말이 다가오면서 연금과 일부투자자들이 주식부문 이익을 시현하고 그 자금을 채권으로 돌리고 있는 것.

도이체방크는 "3월에 수익률이 3.21%였던 것이 지금은 2.75%라서 과연 30년짜리 미국채 매입에 적절한 시점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주식부문의 이익을 시현한 자금을 묻어두기에는 아주 적절한 수단"이라고 관측했다.

이같이 국채장기물에 대한 수요증가는 최근 증시 랠리와 이상하리만큼 박자를 잘 맞추고 있다. 제로쿠폰 미국채 장기물과 주요주가지표의 상관관계가 거의 1에 가깝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해 캐나디언임페일언뱅코오브커머스의 채권투자 전략부문장 이안 폴리크는 "주식부문 이익시현과 미국채로의 자금이동은 금리인상 시기에 연금들이 가장 즐겨찾은 레시피"라고 설명했다.

newspim photo
<자료=블룸버그>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

관련기사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