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정한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국민의당은 오는 18일 만찬회동을 갖고 12월 임시국회 법안 처리에 대한 의견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만찬은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 |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회의실을 예방한 김성태 자유한국당 신임원내대표를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뉴시스> |
우 원내대표는 지난 13일 정세균 국회의장-여야 3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12월 임시국회 쟁점 법안 처리 논의를 위한 식사자리를 제안했고, '한국당 패싱'을 놓고 감정의 골만 깊어가던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 등 지도부도 이에 동의하며 성사됐다.
일단, 여야는 의견차가 적은 '공통공약 처리'에 초점을 맞춘 모양새다. 우 원내대표는 전날 김 원내대표를 만나 공통공약 리스트를 보내 추후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정의당을 포함하는 여야정 상설 협의체 구성, 물관리 일원화를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 국가정보원법 개혁 등 민주당이 요구하고 있는 사안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규제프리존특별법 등 한국당이 내세우고 있는 경제 활성화 법안이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김 원내대표는 전날 취임 후 처음 주재한 원내대책회의에서 "한국당은 앞으로 서민·노동자·농민을 위한 정당으로서 노동관련법, 서비스발전법, 규제프리존법 등 경제 활성화 법안과 관련한 문제는 기존 협상 방식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임하겠다"면서도 "문 정권의 극단적 좌파 포퓰리즘, 정치보복, 안보포기 등에 대해선 강력히 저항하고 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만찬 회동은 법안 처리 논의 시작에 불과하다. 서로 교환할 수 있는 것과 절대 통과시킬 수 없는 사안을 구별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다만, 민주당의 적폐청산 관련 법안은 협상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 민주당과 한국당이 접점을 찾지 못한다면 예산안 정국처럼 국민의당이 또 다시 '캐스팅 보트'가 돼 한국당 패싱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올 것"이라며 "그러나 한국당 신임 원내대표가 된 김 원내대표도 임시국회에서 성과를 내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반대만 외치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뉴스핌 Newspim] 조정한 기자 (giveit90@newspim.com)